개구리의척수반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3 02:00
본문
Download : 개구리의척수반사.hwp
개구리의척수반사 , 개구리의척수반사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레포트






다. 뇌는 두개골 안에 있으며 경질막, 거미막, 연질막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되고 있다 뇌는 척수와 뇌신경으로부터 오는 흥분을 받아 자극을 요점, 판단하고 기억과 적절한 反應에 필요한 통합 조절된 행동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중추로서 연수, 교뇌와 중뇌를 포함한 뇌줄기와 시상하부와 시상을 포함한 간뇌, 그리고 소뇌, 대뇌로 구분된다
좀더 큰 범위로 나가보면 이러한 중추신경계는 말초신경계와 자율신경계와 함께 신경계를 이룬다. 그리고 이 두 신경을 체성신경이라 하며 뇌에서 나오는 1쌍의 뇌신경과 척수에서 나오는 31쌍의 척수신경이 포함된다 자율신경계는 내장혈관, 샘조직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추…(省略)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개구리의척수반사에대한 실험 보고서 입니다.
응성이 더 빨리지는 것을 watch할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또 중추에서 운동기관, 분비샘과 같은 기관으로 흥분을 전달하므로 이를 원심신경 또는 운동신경이라 한다.
마지막 experiment(실험)으로 개구리의 척수를 자른 다음 개구리의 발과 척수가 잘라진 부위에 아세트산 용액을 담구어 보았는데 모두 아무런 反應이 없었다.
개구리의척수반사
순서
Download : 개구리의척수반사.hwp( 68 )
개구리의척수반사
개구리의척수반사에대한 實驗(실험) 보고서 입니다.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과 몸의 각 부분들을 연락하는 신경을 말하며 말초신경계가 자극을 중추로 전달하는 구심적 작용을 하는 경우 이 말초신경을 구심신경 또는 감각기관과 연락되는 신경이라 하여 감각신경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되는 부분은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개구리가 뇌가 잘린 후 反應성이 점점 떨어지기 때문인 것 같다. 이러한 이유는 위에서 제시한 척수의 구조에서도 보면 알수 있듯이 척수의 뒤쪽에 있는 뒤뿌리는 감각신경과 연결되어 있고 등쪽뿔은 체표에 있는 피부 감각 등의 수용기로부터 오는 충격을 받아들이는데 척수가 잘려나갔기 때문에 이러한 감각이 운동뉴런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이다. 자극과 자극 사이에 충분한 시간간격을 두기 위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그동안 개구리의 신경세포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진 것이 아닌가 싶다.
이번 experiment(실험)에서는 척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 척수는 중추신경계의 구성요소로 중추신경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