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주거지 정비measure(방안)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10:29
본문
Download : 새로운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hwp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주거지 정비방식의 한 형태인 『가구(Block)단위 주거지 정비방식』을 중심으로 日本(일본)의 事例(사례)를 分析해보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팀의 대상지인 “노량진”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지역적응형가구단위주거지정비방식 , 새로운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공학기술레포트 ,
새로운 주거지 정비measure(방안) 연구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다.
,공학기술,레포트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현행 주거지 정비방식의 진단
3. 가구(Block)단위 주거지 정비방식에 대하여
4. 국내 · 日本(일본) 事例(사례)연구
5. 가구단위 주거지 정비방식의 적용요건 검토
6. 結論(결론) : 실제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서울시에서는 주변지역과 무관하게 사업단위로 시행되던 재개발방식에서 벗어나 여러개의 재개발구역을 생활권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계획하여 정비하는 생활권 단위의 뉴타운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으로 어느 때보다 주변지역을 감안한 재개발방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아
그러나 그동안의 재개발방식은 도시계획의 취지와 내용과는 별도로 고층·고밀의 아파트를 중심으로 공급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2장 현행 주거지 정비방식의 진단
1. 주거지 정비제도의 변천
년도도입 제도 특징 및 결과 1973년주택개량촉진에관한임시조치법 입법화“재개발”이라는 새로운 정비기법등장1976년“차관개발방식”도입1983년“합동재개발사업”도입주택개량재개발사업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됨1987년주택건설촉진법 개정재건축사업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1989년도시저소득 주민의 주거environment(환경) 改善을 위한 임시조치법 제정공공주도의 주거environment(환경) 改善사업 제도를 도입1993년주택건설촉진법의 재건축기준 완화재건축이 급속도로 확대1998년“주택재개발기본계획”도입도시계획차원의 관리기능이 강화됨2002년도시 및 주거environment(환경) 정비법도심재개발사업주택개량재개발사업…(To be continued )
Download : 새로운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hwp( 27 )
순서
지역適應형가구단위주거지정비방식






새로운 주거지 정비measure(방안) 연구 입니다. 그래서 구역내부의 주거environment(환경) 은 改善될지 몰라도, 주변지역을 포함한 지역environment(환경) 측면에서 보면 경관적 부조화와 주변지역과의 단절 등 오히려 지역environment(환경) 의 질은 저하되고 있다아
실제 우리 팀에서는 뉴타운사업지구로 지정된 12곳 중의 하나인 “노량진 일대”를 도시계획설계의 대상지로 정하여 연구하고 있는데, 그곳에서도 대상지 안과 밖의 극심한 경관적 대립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아
이러한 배경에서, 현행 주거지 정비방식의 결점을 진단하고, 새로운 주거지 정비방식의 도입방향과 改善처리해야할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