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 교육의 이론(理論)적 배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14:21
본문
Download : 한국화 교육의 이론적 배경.hwp
동양 회화권에 있어 china(중국) 의 전통회화는 china(중국) 화(中國畵)로, 日本(일본)의 전통회화는 日本(일본)화(日本畵)로 불렸으나 일제는 한국 고유의 전통과 민족성의 자각을 꺼려 1921년 제1회 서화협회전람회(書畵協會展覽會)와 22년의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한국의 전통회화가 조선화(朝鮮畵)로 지칭되는 것을 용인하지 않고 대신 동양화로 부르게 하였다. 먼저 「동양화」란 말이 결정적으로 공칭 되기에 이른 것은 1922년에 일제 총독부가 서화협회의 심상찮은 움직임을 주목하여 서둘러 식민지 문화 정책의 대규모 총합전으로 조선미술전람회를 연례전으로 처음 하면서 부터였다.
한국화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특징등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종래까지 서양화에 대응되는 관념으로 통용되던 동양화라는 명칭을 일제(日帝)에 의해 타율적으로 조성된 용어로 비판, 이를 주체적 입장에서 개칭하여 최근에 사용하기 처음 했다. 한국화교육의이론적배경 , 한국화 교육의 이론적 배경예체능레포트 ,
한국화 교육의 이론(理論)적 배경






한국화교육의이론(理論)적배경
,예체능,레포트
레포트/예체능
한국화 교육의 이론(理論)적 배경과 특징등에 대해 조사한 자료(資料)입니다. 日本(일본)인들도 선전에 日本(일본)화도 함께 출품한다는 점에서 관념도 확실치 않은 동양화로 고착시킨 명분이었던 것 같으나 민족적 입장에서 독자성을 말살당한 것이다. 일제가 통치하면서 일일들의 뜻에 따라 계속되던 선전이 끝나는 마지막 23회까지 동양화라는 이름으로 계속 불리어 졌으며 그것이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한국 미술의 주체성을 흐리게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Download : 한국화 교육의 이론적 배경.hwp( 83 )
1. 한국화의 관념
2. 한국화 지도의 중요성
3. 한국화의 특징
4. 한국화의 재료 및 용구
5. 용구 사용법
6. 한국화 표현기법
7. 한국화 지도의 중요성
1. 한국화의 관념
한국화란 말은 formula(공식)적으로 쓰이기 처음 한지 얼마 되지 않는다.
한국인의 손으로 그려진 회화를 총칭하는 의미로 확대 해석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국의 전통적 기법과 양식에 의해 다루어진 회화를 말한다. 그로부터 「동양화」란 말이 일반적으로 정착을 보이게 되었으며, 「동양화가」라는 말도 생기게 되었다. 한국화는 종이나 비단 위에 먹이나 물에 녹는 안료(顔料)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모필(毛筆)로 그리며, 동양적 자연관과 가치관에 바탕을 둔 회화관(繪畵觀)과 화론(畵論)에 입각하여 주로 china(중국) 의 전통회화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를 선별적(選…(skip)
설명
순서
다. 그 제 1부는 「동양화부」라 하여 한인과 日本(일본)인들의 전통적인 묵화와 채색화를 제 2부는 「서양화부」의 유화·수채화와 구별시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