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복원계획 및 실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1:40
본문
Download : 하천복원최종1.hwp
상류지역은 신대·원천저수지의 물이 만나는 지점인 42번 국도 원천교삼거리까지이고, 산책로가 조성된 곡반정교(2.9㎞ 구간)까지가 중류, 개발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자연유하의 곡선 형태를 보이는 하류(6㎞ 구간)로 구분된다 당시만 해도 몇 세대 살지 않는 황량한 곳이었지만 유원지 지정 이후 수원의 대표적 명소로 주목받으며 주말이면 수만 명의 인파가 몰려 인산인해를 이룰 정도로 유명했다.
경기도 수원시의 권선구, 팔달구, 장안구를 관통하는 대상지는 여천에서 흘러나오는 처음 부는 약 1/250의 경사를 보이며 이후 도심을 가로지르는 구간은 약 1/1300의 완경사를 이룬다.
주변 토지의 이용형태는 기존에 주로 전과 답으로 이루어져있던 곳에 현재는 대상부지 거의 대부분인 4㎞구간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와 주택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상지 말단 원천 2교에서 백년교 구간 좌안으로는 삼성전자 산하 수원공장이 위치한다.
1. 대상 하천의 개황
2. 대상 하천 선정이유
3. 대상 하천의 물리적 구조 조사 결과
4. 공간구성계획(Zoning)
5. 구간별 복원계획
원천리천 “생명을 품다”
1. 대상 하천의 개황
원천리천은 안성천 수계내의 황구지천의 제 1지류 및 제 2지류에 속하는 하천이며 법정하천 준용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는 하천으로 유역면적 65.12㎢,에 유로연장 총 12.45㎞이다. 하도정비계획에 의거 15m 정도로 균일하게 정비되어있으며, 사행도는 약 1.18로미미하고 하상은 잔자갈 및 모래로 되어있는 하상이다.
2. 대상 하천 선정이유
원천리천은 상·중·하류가 확연히 구분되는 것이 특징이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수풀이 무성하게 자랐던 중류지역에 산책로가 조성되기 처음 한 것이다. 지난 1970년대 수원 변두리 지역인 원천리천 중류지역에 삼성전자가 공장을 세우긴 했지만, 주변은 허허벌판에 논과 구릉지대에 둘러싸인 외진 곳이었다. 상류지역을 제외하면 개발이 이뤄진 것은 불과 10여 년도 되지 않는다. 원천지구~매탄4지구~권선3지구 개발이 次例로…(생략(省略))
순서
하천복원계획,및,실습,공학기술,레포트
원천리천 하천의 복원 계획 및 실시설계
하천복원계획 및 실습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원천리천 하천의 복원 계획 및 실시설계 , 하천복원계획 및 실습공학기술레포트 , 하천복원계획 및 실습






Download : 하천복원최종1.hwp( 92 )
다. 삼성전자의 규모가 팽창해 가면서 주변지역으로 개발바람이 불기 처음 했고, 1980년대 본격적인 도시개발과 함께 원천리천도 새 옷을 갈아입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