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와 동아시아 미학 -한과 멋에 마주향하여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12:41본문
Download : 한국미와 동아시아 미학 -한과 멋에 대해서-.hwp
ㅣ
레포트/인문사회
다. 우리의 의식주 文化(culture) 와 흔히들 말하는 한복의 곡선, 추녀의 어울림, 꾸민듯하면서 꾸미지 않은 자연스러운 정원등이 균형잡힌 우리의 멋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조심스레 해본다. 이로 볼 때 한국인에게 그러한 절망과 허무를 딛고 일어서게 하는 힘이요,억압을 한과 신명으로 풀어 내므로써 만들어지는 생명력 이라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한국적인 것, 한국적인 미를 최순우 선생은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 한국 사람들의 성정과 생활양식에서 우러난 무리하지 않은 아름다움, 자연스러운 아름다움, 소박한 아름다움, 호젓한 아름다움, 그리움이 깃든 아름다움, 수다스럽지 않은 아름다움 그리고 이러한 아름다움 속을 고요히 누비고 지나가는 익살의 아름다움 같은 것을 아울러서 뜻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 라고 하였다.순서
Download : 한국미와 동아시아 미학 -한과 멋에 대해서-.hwp( 96 )

한국미와 동아시아 미학 -한과 멋에 마주향하여 -
한국미와 동아시아 미학 한과 멋에 대해서쓴 자료입니다.
한은 원한과 달라서 누구에게 앙갚음과 보복을 해야 좋을지도 모를, 막연한 설움이고 이름 없는 아픔이다.ㅣ 한국미와동아시아미학[1] , 한국미와 동아시아 미학 -한과 멋에 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첫눈에 눈을 사로잡는 화려함이나 눈을 부릅뜨고 들여다봐야하는 근시안 적인 신경질이 없으며, 거칠고 성글어 보여도 한걸음 뒤로 물러서서 보면 시원하고 대범하면서 담담하고 조촐하다■ 이 문장을 읽으면서 ‘아! 한국적 미란 이런 것이구나’ 하는 일종의 깨달음이 스쳐갔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의 미가 오직 한이라는 정서로만 만들어진 것인가? 오로지 비극적인 민족적 상황하에서 만들어진 한을 춤과 노래와 익살로 풀어내는 것이 한국의 미인가? 하는 의문을 품으면서 ‘멋’ 이라는 근원을 이끌어 냈다.
‘멋!’ 가만히 멋이란 것을 생각해보니, ‘멋’은 그저 느껴서 알 따름이니 너무 막연하기만 하다.
일반적인 ‘멋’의 의미는 中國의 풍류와 서양의 유머 같은 것과 근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지…(생략(省略))
한국미와동아시아미학[1]
,인문사회,레포트
한국미와 동아시아 미학 한과 멋에 마주향하여 쓴 자료(資料)입니다.
이러한 美(아름다움)에 대한 정신과 근본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 恨’ 이 한국미의 원천이라고 말해왔다. 오랜 세월을 가난하고 억울하게 살아온 민중의 아픔과 설움을 우리는 한이라는 말로 표현해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