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학기 원격교육론 기말시험 core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2:40
본문
Download : 20212_기말_교육1_원격교육론.pdf
- 학습자의 사전 지식, 일반적 property(특성)을 분석하여 그것을 교육용 매체의 선정과 개발에 적용하는 것이 교육적 effect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
제 5 장 원격교육의 매체와 기술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및 해설 *
④ 원격교육이 성격상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개발을 요구한다고 할 때, 기존의 체계적 교수개발 모형이 상정하고 있는 몇 가지 전제와 원격교육의 요구가 맞아떨어지기 때문에 원격교육과정 개발에 체계적 교수개발의 아이디어를 적용하고자 함
1) 원격교육과 체계적 개발
원격교육론,방통대원격교육론,방송대원격교육론,원격교육론시험,원격교육론요약,원격교육론기말시험
② 기본적으로 수업의 준비과정을 일종의 체계적 과정으로 파악, 즉 수업의 준비과정에 포함된 많은 요소가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점을 강조. 특히 체계의 특징 중의 하나인 투입, 과정 및 그에 따른 산출을 다음 단계의 투입요소로 활용하는 단계적 접근이 effect성에 바탕을 두고 있음
제 14 장 원격교육 관련 연구동향
제4장 원격교육을 위한 체계적 개발
- 중략 -
순서
제 4 장 원격교육을 위한 체계적 개발
제 15 장 원격교육의 未來와 전망
제 7 장 원격교육과定義(정의) 운영
2) 무어와 키어슬리의 모형
- 초기 교육요구 분석에서부터 마지막 형성평가 및 수정에 이르는 전체 계획과정에 단순히 교수자만이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람의 협조와 공동 노력이 이루어짐
1. 체계적 개발의 의의와 당위성
1) 딕과 케리의 모형
2) 체계적 개발의 당위성
② 원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의 property(특성)
③ 딕과 케리의 모형은 이후 수많은 종류의 체계적 교수개발 모형의 제안을 촉진함
① 교수체제개발 또는 체계적 교수설계의 아이디어
제 9 장 원격교육의 질관리와 평가
② 원격교육은 무엇보다도 교수자와 학습자가 원격에서 분리된 상태로 교수와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사전에 잘 계획된 교수 및 학습활동이 요구됨
제 8 장 원격교육 학습자
- 일정한 질적 수준을 지니는 원격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각 요소, 단계, 원리, 절차와 같은 것들을 분명히 하고, 그것을 따르는 것이 필요함
제 10 장 원격교육 관련 법제도
설명
① effect적인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관련된 요소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일정한 단계 혹은 체계적 개발 절차를 밟는 것은 매우 중요함
2021년 2학기 원격교육론 기말시험 core체크
제 13 장 이러닝, 스마트러닝과 사이버대학
제 12 장 세계 원격교육의 실제





2. 체계적 개발의 대표적인 모형
방송통신 > 기말시험
제 6 장 누리망 기반의 원격교육
- effect적인 원격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순환적인 설계활동이 요구됨
제 11 장 국내 원격교육의 실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매체와 기술 그 자체가 교육적 effect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다른 여러 교육 방법 관련 요소들과 체계적으로 고려할 때 effect가 있다는 관점
Download : 20212_기말_교육1_원격교육론.pdf( 35 )
② 원격교육 분야에서 체계적 개발과정에 대한 관심과 연관된 것으로 무어와 키어슬리의 교육체계 모형을 들 수 있음
① 원격교육을 위한 본격적인 체계적 개발 모형 연구결과는 아직까지 미흡한 편임
③ 원격교육은 대부분 기술적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내용 전문가로서의 교수자 뿐만 아니라 매체 등의 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협동 작업이 요구됨
제 4 장 원격교육을 위한 체계적 개발 제 5 장 원격교육의 매체와 기술 제 6 장 인터넷 기반의 원격교육 제 7 장 원격교육과정의 운영 제 8 장 원격교육 학습자 제 9 장 원격교육의 질관리와 평가 제 10 장 원격교육 관련 법제도 제 11 장 국내 원격교육의 실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제 12 장 세계 원격교육의 실제 제 13 장 이러닝, 스마트러닝과 사이버대학 제 14 장 원격교육 관련 연구동향 제 15 장 원격교육의 미래와 전망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및 해설 *
① 1970년대 중반 이후 effect적인 수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습 및 수업에 관한 과학적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관점을 발전시켜서 나타난 모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