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세진의 생애와 저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11:48
본문
Download : 최세진의 생애와 저술.hwp
일찍이 사역과에서 실시하는 과거에 합격하여 china어를 가르치는 낮은 벼슬에 지내다 그 학문과 재질이 인정되어 성종으로부터 질정관을 제수 받았다. 1517년 내섬시부정으로 참교 ·한학교수를 겸하여 『사성통해』를 완성했고, 1524년(중종19) 군자감정으로 『친영의주』와 『책빈의주』를 언해(언해), 1527년 『훈몽자회』를 완성했다.최세진의생애와저술 , 최세진의 생애와 저술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1.최세진의 생애
2. 최세진의 저술
1)사성통해 [ 四聲通解 ]
2)훈몽자회[訓蒙字會]
3)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4)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5)노박집람[老朴集覽]
6)이문집람[吏文輯覽]
7)이문속집집람[吏文續集輯覽]
8)운회옥편[韻會玉篇]
1.최세진의 생애
최세진은 사역원정을 지낸 최발의 아들로서 성종 4년(1473)경에 충정도 괴산에서 출생하였으며 자는 공서다.
,인문사회,레포트
다.



최세진의 생애와, 최세진의 저술서를 정리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말년에는 주로 저술활동에 몰두하다가 중종 37년(1542) 2월에 세상을 뜬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최세진의 저술
1)사성통해
중종 12년(1517)에 편찬된 책으로서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다 세종께서 신숙주에게 명을 내려 편찬토록 한 [사성통고]의 미비한 점을 보완한 운서로서, 국어한자음을 정음과 속음으로 병기하여 실용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1503년(연산군9) 별시문과(별시문과)에 급제하였다. 1541년 중추부동지사로 『경성지』 『여효경』을 진상하였다. 현대 『사성통고』가 전해지지 않는 만큼 정통 운서의 체재를 따르되 한극로 그 독음을 제시한 이른 시기의 한국 운서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며, 아울러 명대의 china한자음 연구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으로 평가된다
『사성통해』는 그 서문에서 이 책을 편찬케 된 연유를 밝힌 다음 「운모정국」,「광운삼십육자모지도」,「운회삼십오자모지도」,「홍무운삼십일자모지도」의 순서로 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특히 세 자모도에는 각 자모의 발음이 한글 초성으로 명시되어 있다 이어서 범례를 들어 보이고 그 다음에 본문의 내용이 전개된다
이 운서의 특징을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자를 운에 따라 분류한 다음 핵모음에 해당하는 가운뎃소리를 한글로 먼저 들어 보이고, 다시 아·설·순·치·후의 오음 순으로…(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최세진의 생애와 저술.hwp( 83 )
설명
순서
최세진의생애와저술
최세진의 생애와 저술
최세진의 생애와, 최세진의 저술서를 정리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1530년 중추부사첨지로 『황극경세서집』을 왕에게 진상했고 1539년 승문원제조로 『대유대주의』와 『황극경세서설』을 바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