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발생 방지와 관련 한 통제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15:37
본문
Download :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한 통제이론.hwp
즉 자기 눈앞에서 전개되는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는가에 따라 소년들은 합법적인 행위를 할 수도 비행을 저지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2) 범죄의…(省略)
다.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 한 통제理論(이론)
순서
Download :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한 통제이론.hwp( 72 )
레포트/자연과학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 한 통제理論(이론)


설명
범죄발생,방지와,관련,한,통제이론,자연과학,레포트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 한 통제이론 ,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 한 통제이론자연과학레포트 ,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 한 통제이론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한 통제theory
1. 들어가며
통제theory 은 대다수의 사람이 범죄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는 theory 으로 볼 수 있따
2. 개인 및 사회적 통제
통제를 통해 범죄를 방지할 수 있으나, 라이스는 개인통제력의 미비와 사회 통제력이 부족으로 범죄가 발생한다고 보았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통제가 되는 측면, 기타 처벌에 의한 통제, 스스로의 자제와 양심, 죄의식에 따른 통제가 가능할 수 있따
3. 봉쇄theory
레크레스 (범죄유발요인, 범죄차단용인)
-범죄나 비행을 유발하는 힘
㉠압력요인: 열악한 생활요건, 가족갈등, 열등한 신분적 지위, 성공기회의 박탈
㉡유인요인: 나쁜 친구들, 비행이나 범죄하위분화, 범죄조직, 불건전한 대중매체
㉢배출요인: 생물학적, 심리학적 요소(불안감, 불만감, 내적긴장감, 증오심, 공격성, 즉흥성)
-일탈봉쇄요인
㉠내적통제: 책임감, 집중력, 성취지향력, 대안을 찾을 수 있는 능력
㉡외적통제: 도덕...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한 통제theory
1. 들어가며
통제theory 은 대다수의 사람이 범죄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는 theory 으로 볼 수 있따
2. 개인 및 사회적 통제
통제를 통해 범죄를 방지할 수 있으나, 라이스는 개인통제력의 미비와 사회 통제력이 부족으로 범죄가 발생한다고 보았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통제가 되는 측면, 기타 처벌에 의한 통제, 스스로의 자제와 양심, 죄의식에 따른 통제가 가능할 수 있따
3. 봉쇄theory
레크레스 (범죄유발요인, 범죄차단용인)
-범죄나 비행을 유발하는 힘
㉠압력요인: 열악한 생활요건, 가족갈등, 열등한 신분적 지위, 성공기회의 박탈
㉡유인요인: 나쁜 친구들, 비행이나 범죄하위분화, 범죄조직, 불건전한 대중매체
㉢배출요인: 생물학적, 심리학적 요소(불안감, 불만감, 내적긴장감, 증오심, 공격성, 즉흥성)
-일탈봉쇄요인
㉠내적통제: 책임감, 집중력, 성취지향력, 대안을 찾을 수 있는 능력
㉡외적통제: 도덕교육, 합리적 규범과 기대체계, 집단의 포용성, 효율적인 감독과 훈육, 소속감, 일체감의 배양
4. 자기관념theory
자기관면theory 에서는 자아관념을 비행에 대한 절연체라고 주장하고 범죄나 비행으로 이끄는 요인이 있음에도 비행을 저지르지 않고 정상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올바른 자아관념이 범죄억제요인이 된다고 주장, 레크레스는 자기관념론을 발전시켜 봉쇄theory 으로 발전시켰다.
5. 동조성 전념theory
이는 브라이어&필리아빈에 의해 주장되었으며, 동조성에 따란 범죄확률을 따진다.
6. 표류theory 내지 중화기술theory
1) 표류의 concept(개념)
표류theory 에서 표류란 사회통제가 약화되었을 때에 소년들이 합법적인 규범이나 가치에 전념하지 못하고 그렇다고 위법적인 행위양식에도 몰입하지 않는 합법과 위법의 중간단계에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