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Engineering] 동물 바이러스 - 동물 바이러스의 특징과 복제 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9:48
본문
Download : [생명공학] 동물 바이러스 - 동물.hwp
위의 정의(定義)는 동물 바이러스(Animal Virus)의 사전적 정의(定義)이다. 이런 과정을 세포 신호전달과정이라 한다. 따라서 동물 바이러스는 동물에 감염되어 증식하는 바이러스이며 위처럼 숙주에 따라 식물바이러스, 세균바이러스, 곰팡이 바이러스, 인체바이러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더 깊이 들어가 동물 간에도 숙주를 옮길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동물세포 또한 마찬가지로 신호인자로 스타트되어 여러 단백질과 같은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고 그 결과 증식이 되는 것이다
순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설명
생명공학,동물 바이러스 ,동물 바이러스의 특징,복제 과정
Download : [생명공학] 동물 바이러스 - 동물.hwp( 25 )
[생명Engineering] 동물 바이러스 - 동물 바이러스의 특징과 복제 과정
다. 영양분과 구성 성분이 무한대로 공급되어도 이러한 틀을 유지하기 위해 증식이 제한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생명공학] 동물 바이러스 - 동물-618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83%9D%EB%AA%85%EA%B3%B5%ED%95%99%5D%20%EB%8F%99%EB%AC%BC%20%EB%B0%94%EC%9D%B4%EB%9F%AC%EC%8A%A4%20-%20%EB%8F%99%EB%AC%BC-6180_01.jpg)
![[생명공학] 동물 바이러스 - 동물-618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83%9D%EB%AA%85%EA%B3%B5%ED%95%99%5D%20%EB%8F%99%EB%AC%BC%20%EB%B0%94%EC%9D%B4%EB%9F%AC%EC%8A%A4%20-%20%EB%8F%99%EB%AC%BC-6180_02_.jpg)
![[생명공학] 동물 바이러스 - 동물-618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83%9D%EB%AA%85%EA%B3%B5%ED%95%99%5D%20%EB%8F%99%EB%AC%BC%20%EB%B0%94%EC%9D%B4%EB%9F%AC%EC%8A%A4%20-%20%EB%8F%99%EB%AC%BC-6180_03_.jpg)
![[생명공학] 동물 바이러스 - 동물-618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83%9D%EB%AA%85%EA%B3%B5%ED%95%99%5D%20%EB%8F%99%EB%AC%BC%20%EB%B0%94%EC%9D%B4%EB%9F%AC%EC%8A%A4%20-%20%EB%8F%99%EB%AC%BC-6180_04_.jpg)
![[생명공학] 동물 바이러스 - 동물-618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83%9D%EB%AA%85%EA%B3%B5%ED%95%99%5D%20%EB%8F%99%EB%AC%BC%20%EB%B0%94%EC%9D%B4%EB%9F%AC%EC%8A%A4%20-%20%EB%8F%99%EB%AC%BC-6180_05_.jpg)
위의 정의는 동물 바이러스(Animal Virus)의 사전적 정의이다. 일반적인 바이러스는 숙주를 바꿀 수가 없는데 예를 들어 한 동물 바이러스가 식물에 감염되어 식물바이러스로 전환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 동물 바이러스의 ‘동물’은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것, 즉 숙주 대상을 의미한다. 세포의 증식을 위해서는 이를 스타트하게끔 하는 신호가 있어야 하는데 이런 신호는 보통 호르몬 같은 물질에 의하여 스타트된다 이런 것을 ‘성장인자(Growth factor)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수용체에 결합되어 세포 안으로 전달되어 핵까지 전달된다 이는 염색체에 있는 특정 유전자 전사로 나타나게 되며 이에 대응 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이로써 세포는 증식한다. 또한 더 깊이 들어가 동물 간에도 숙주를 옮길 수 없는 경우도 있따
(1) 동물 세포
동물 개체의 기본단위인 동물세포는 서로 모여 조직(Tissue)을 이루고, 이러한 조직 혹은 세포들은 모여서 기관(Organ)을 이룬다. 동물 바이러스의 ‘동물’은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것, 즉 숙주 대상을 의미한다. 다시 이러한 기관(혹은 조직, 세포)들은 모여 체계를 갖춘 기관계(Organ system)을 형성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것들로 구성되어 하나의 동물 개체가 형성된다 예로서 심장은 하나의 ‘기관’으로서 근육, 상피 등의 여러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순환계는 ‘기관계’로서 심장, 혈관, 혈액세포 등의 ‘조직’들로 구성되어있다아 이렇게 여러 단계와 종류의 세포와 체계들이 존재하려면 이에 맞는 체계가 있어야 하고 그 수가 무한정 늘어나는 것 보다 잘 조직화 되어서 유지되고 돌아가야 한다. 만약 이것이 틀어지게 되면 잘 자라기보다 오히려 해가되어 돌연변이 발생으로 인한 종양, 암 등이 유발될 수 있다아 이는 대장균과 같이 하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 세균들이 배양 조건만 갖춰지면 잘 자라는 것과는 다른 성질이다. 따라서 동물 바이러스는 동물에 감염되어 증식하는 바이러스이며 위처럼 숙주에 따라 식물바이러스, 세균바이러스, 곰팡이 바이러스, 인체바이러스 등으로 나눌 수 있따 일반적인 바이러스는 숙주를 바꿀 수가 없는데 예를 들어 한 동물 바이러스가 식물에 감염되어 식물바이러스로 전환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