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17:37
본문
Download : 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hwp
이들은 대한방직협회를 중심으로 기술소책자나 단행본등을 간행하여 신지식을 흡수하고자 노력하였고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지형, 김지봉, 강창섭 등의 저서가 출간되었다. 그리고 공정별 강습회를 각 공장을 방문하여 개강하는 데에 김병운과 김지봉 등이 크게 활약하였다. 이 중에서 해방 이전부터 근무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근무경력 10년 이상된 인원이 총 118명이었고 이 중에서 고등공업졸업자가 1명, 중학교 졸업자(중퇴자 포함)가 10명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국민학교 졸업자로 분류되어 있다 대한방직협회, 『방직기술자 및 기능자 명부』, 1954, 1~19면.
이러한 상황은 이 공장의 기술자나 기능자 대부분이 해방 이전의 학교교육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습득한 것이 아니라 회사에 취업한 이후에 기술을 익힌 것으로 보아야만 할 것이다. 기능공양성을 위한 기능경기대회를 개최하고, 국내의 고급기술자들과 ECA섬유기술관 등의 도움으로 중견면방직기술자를 대상으로 한 25과목에 이르는 강습회를 개최하였으며 대규모 방직회사들에서는 단기양성소를 두어 이들을 양성하였다. 따라서 최대설비를 보유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대구의 삼호방직과 대구방직과 더불어 유일하게 한국전쟁의 전화를 입지 않고 이 시기까지 가장 온전하게 해방 이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던 조선방직 부산공장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인력상황을 살펴보기로 하자.
1954년 당시 전체 명부에 기재된 전체 인원은 총 139명이었다.1954년 당시에 13명의 경성고등공업학교 방직학과 출신들이 각 기업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단지 이들만이 대규모 면방직업체에서 활동하였... , 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경영경제레포트 ,
1954년 당시에 13명의 경성고등공업학교 방직학과 출신들이 각 기업체에서 core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단지 이들만이 대규모 면방직업체에서 활동하였다면 이것으로는 각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곤란했을 것이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는 데에 경성고등공업학교 방직학과 졸업생들의 노력이 지대했다. 또한 상급기술자들을 대상으로 방직기술공개토론 및 미국방직기술을 연구하는 기술강습회도 개최하기도 하였으며 1951년 이후부터는 김병운, 김의극, 김지봉, 우범식 등이 중심이 되어 면방직기술연구발…(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1954년 당시에 13명의 경성고등공업학교 방직학과 출신들이 각 기업체에서 the gist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단지 이들만이 대규모 면방직업체에서 활동하였...
Download : 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hwp( 99 )
설명
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
,경영경제,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