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의 체육적 지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17:13
본문
Download : 특수아의 체육적 지도.hwp
특수아의체육적지도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장애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특수아에 대한 체육적 지도 방안을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3. 불량체격아 (不良體格兒)
불량체격이라고 하는 것은 새 가슴이나 깔대기 가슴, 편평한 가슴 등의 이른바 이…(drop)
장애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특수아에 대한 체육적 지도 대안을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Download : 특수아의 체육적 지도.hwp( 59 )
다. 그 원인(原因)으로서는 외상에 의한 사지의 운동장해, 곱사병, 뼈결핵, 척추성 소아마비, 선천성 사지강직성, 반신불수 등을 들 수 있따
지체부자유에 의한 운동장해는 그 장해의 정도에 따라 통틀어 취급할 수 는 없으나, 교육적 견지에서 중요한 점은 정신적 발달에 미치는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影響(영향)이다. 고독을 좋아하며, 기분이 좋지 못하고, 신경질적인 점이 그 빠지기 쉬운 특징으로 되어 있따
따라서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신체조건에 적합하고 적당한 운동과, 명랑한 성격, 낙천적인 人生(life)관을 육성하게 하는 넓은 사회적 경험, 사회적 활동이 필요로 된다 성격은 이것들의 특징에 대한 주위 사람들의 태도 여하에 따라 결정된다 특별시하지 않고, 능력의 범위 내에 있어서 충분히 행동할 수 있도록 environment을 조정할 필요가 있따 이런 점에서 볼 때, 유아기에서부터 아동기에 걸쳐서 지도가 특히 중요하다 하겠다. 신체의 운동은 심신의 발달에 대하여 본질적인 역할을 다하고 있따 유아기에서의 신체운동이 정신적 발달에 影響(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점은, 아동심리학자가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이 정신적 발달에 있어서 특히 정서적인 체험, 사회적인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 경우의 열등감은 다른 경우보다도 강렬하며, 소극적, 도피적인 행동경향이 많아진다. 지적인 발달은 정상이어도 신체적 운동의 결함에 의한 구체적이 사회적 경험이 불충분하므로, 당연히 거기에 정신적인 불균형이 생겨, 「아이다움을 잃는」아이가 될 우려가 있따 이 구체적인 경험의 부족을 보상하려고 하는 지적, 정서적인 부조화한 발달은 인격적인 편향을 가져오게 할 가능성이 많다. 특수아의체육적지도 , 특수아의 체육적 지도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특수아의 체육적 지도
Ⅰ.장애의 유형Ⅱ. 특수아의 체육적 지도1. 허약아 (虛弱兒)2. 지체부자유아 (肢體不自由兒)3. 불량체격아 (不良體格兒)4. 성격문제아 (性格問題兒)5. 운동졸렬아 (運動拙劣兒)6. 정신박약아 (精神薄弱兒)7. 그 밖의 문제아 (問題兒)Ⅲ . 장애아동의 훈련에 있어서 체육의 역할【Reference List】# 부록 특수체육의 definition
2. 지체부자유아 (肢體不自由兒)
보통 지체부자유아라고 불리우는 것은 운동능력에 현저한 결함을 가진 자로서, 운동기관 또는 운동기능의 결함이나 장해 때문에 보통아와 동등한 교육을 실시할 수 없는 아동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