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 H. Aude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13:45
본문
Download : W H Auden.hwp
conclusion(결론)적으로 제시된 <시는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존재해야 한다>는 …(skip)
W. H. Auden
영미처음 가작품
레포트/기타
설명
영미시작가작품 , W. H. Auden기타레포트 ,






순서
Download : W H Auden.hwp( 81 )
,기타,레포트
다. 그가 예시하는 <과일>, <큰 메달>, <창턱의 소매 스쳐 닳은 돌>, <새의 비상> 등의 이미지가 시에 제시되면 독자들은 그 이미지에 얽힌 각자 자기의 연상이나 추억을 통하여 복합적인 정서가 환기된다 2연에서 시가 <시간 안에서 움직임이 없어야 한다> 는 말은 시에 제시되는 이미지가 그것이 말없이 가만히 있어도 독자들은 시간 안에서 과거, 현재, 어디로든 마음껏 상상의 날개를 펴서 갖은 연상을 한다는 것이다.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 의 이미지는 곧 슬픔의 歷史를 말하는 등가물이며, <기울어지는 풀과 바다의 두 불빛>의 이미지는 곧 애인들의 상징적 이미지이다. ▶ 이 시는, 시란 설명(explanation)적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이며 경험적으로 그 의미를 다루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가장 유명한 시 理論(이론) 중 하나이다. Pound는 시에서 <독자들의 정서를 자극할 수 있도록 조절된 구체적인 사물의 이미지나 이미지들을 제시> 할 것을 주장했고, Eliot은 <감각체험으로 낙착되는 외부의 사실이 주어졌을 때에 정서가 즉각적으로 환기되는 것이다> 라고 의 시론은 말했다. 이 시론은 Ezra Pound의 이미지 중심의 시론이나 Eliot의 의 시론과 큰 차이는 없다. 이 시는 Eliot의 유명한 理論(이론)을 시로 설명(explanation)한 것으로, 시는 그 자체가 독립적인 유기체라고 주장하는 신비 비평가들에 의하여 많이 사용되었다. <나뭇잎 뒤에 숨은 달>이 올라오면서 안보이던 가지들이 점차 환하게 드러나듯이. 3연에서 시는 과학적 진실이 아니라 감definition 등가물 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Modernist 시론을 이어받은 MacLeish는 시에선 구체적인 이미지를 제시할 뿐 시인 자신은 <외롭다>, <슬프다> 는 식의 발언을 하지 말 것을 주장한다.
이 시는 タイトル(제목) 그대로 시 쓰는 법을 시로 표현한 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