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와 대학 - 사회의 왜곡된 가치에 대한 대학의 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5 21:45
본문
Download : 사회와 대학 - 사회의 왜곡된 가치에 대한 대학의 태도.hwp
대학입학 완전개방은 그 대안이 될 수 없다.
어쨌든 입학전 부터 대학에 대한 본질을 사회, 경제적 지위 획득의 수단으로 파악하는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은 ‘진리와 자유’를 추구하려는 대학의 본연의 이상과는 전혀 동떨어진 것으로 이상적인 대학culture 창달에는 그 태생적인 problem(문제점)을 안고 출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지나친 엘리트 의식과 독선적 파벌의식의 심화
대학에 들어가면 입학식에서 졸업식에 이르기까지 마치 選民이나 되는 것처럼 엘리트 의식을 갖도록 교수나 선배들에 의해서 의식적, 무의식적인 교육을 받는다.
3) 특혜의 악순환
내실을 갖추지 않고 면죄부 발행하듯 대학이 졸업장만 발급한다면, 대학은 사회발전을 저해하는 것 뿐 아니라, 스스로의 존립 자체도 위태롭게 …(투비컨티뉴드 )
순서
먼저 대학이 왜곡된 사회 가치를 수용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병폐적인 현상들을 언급하고,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한 사회에 대한 반발과 변혁의 시도에 대한 고찰과 현재 우리 대학의 모습을 조명해 보고, 더 나아가 우리의 대학이 나아가야 할 바를 제시했습니다. 문제는 너무 많은 이들이 대학에 들어가려고 한다는 것이고, 그리고 그 선발이 주로 ‘만 18세의 어느 하루’의 결과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 사회와 대학 - 사회의 왜곡된 가치에 대한 대학의 태도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사회와 대학 - 사회의 왜곡된 가치에 대한 대학의 태도.hwp( 44 )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먼저 대학이 왜곡된 사회 가치를 수용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병폐적인 현상들을 언급하고,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한 사회에 대한 반발과 변혁의 시도에 대한 고찰과 현재 우리 대학의 모습을 조명해 보고, 더 나아가 우리의 대학이 나아가야 할 바를 제시했습니다.)
또한 소위 일류대학, 명문대학 출신일수록 자기대학과 동창관계가 아닌 다른 대학 졸업생들에게는 배타적이며, 자기 동창들만의 이해에만 충실하는 경우도 많이 있어 ‘학벌주의’가 관행화 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학력을 유일한 인간평가의 기준으로 활용하는 왜곡된 사회의 가치평가 기준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학입학 자체를 사회에서의 새로운 신분질서의 획득처럼 착각, 마치 대학이 절대적인 특권을 부여하는 것처럼 인식하여 대학당국이 (어쩌면, 대학생 스스로) 대학생들에게 엘리트 의식 아니면 우리대학이 최고라는 독선적 파벌의식을 심어주고 있다
그 결과 대졸자들은 마치 자기가 엘리트가 된 것으로 착각, 대학을 나오지 않은 사람들 위에 군림하며, 자신이 전문가인 척 사회에서 높이 평가되는 전문직이 아니면 취업조차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많다.
사회와 대학 - 사회의 왜곡된 가치에 대한 대학의 태도
다. 위와 같은 의식구조가 변하지 않는 한 대학의 완전개방은 그 질적 하락을 가져올 뿐이다. Ⅰ. 여는말
Ⅱ. 몸 말
1. 사회가치에 의해 왜곡된 대학의 culture
1) 대학입학과 학과 선택에 관하여
2) 지나친 엘리트 의식과 독선적 파벌의식의 심화
3) 특혜의 악순환
4) 대학culture속의 써클culture의 變化
5) 세속의 가치에 이끌려 가는 대학의 모습
2. 사회의 왜곡된 가치에 저항하는 대학
1) 해방이후 - 4.19 - 60년대 말
2) 70년대 (청바지, 통기타culture와 시위culture)
3) 80년대 이후 - 현재까지
Ⅲ. 맺음말
사실, 우리나라 대학 입학 정원수는 결코 적은 수가 아니다. (이러한 성향이 결국은 대졸 취업난을 가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