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권취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6 15:46
본문
Download : 직권취소.hwp
3. 사견
생각건대, 상급 행정청이 감독권의 일환으로서 하급행정청의 위법한 행위를 시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이라면, 소극설은 부당하다고 본다.
Ⅳ. 취소사유
취소사유에 관해서는 무효 原因에 이르지 않는 행정행위의 하자가 있으면 일반적으로 취소사유가 된다 즉, 내용적으로는 실정법 또는 불문법 원리의 위반 또는 부당이 취소사유가 된다
Ⅴ. 취소권의 제한
1. 수익적 행정행위의 취소
① 법적인 정성 및 신뢰보호 원칙에 의한 제한
전통적으로는 행definition 법률적합성의 원칙에 따라 하자 있는 행정행위는 행정청이 자유롭게 취소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를 직권취소자 유의 원칙이라 한다.
그러나 행정청이 행정행위의 성립상 흠을 이유로 자유로이 취소한다면, 그에 따라 법적 안정성 및 국민의 신뢰를 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행정행위의 직권취소는 법률적합성의 원칙과 신뢰보호의 원칙을 비교형…(skip)
직권취소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직권취소.hwp( 76 )
직권취소의 의의와 취소권의 근거 및 취소사유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또한 행definition 자율적 통제수단으로서의 의미도 가지는 행정심판상의 취소심판에 있어 처분청의 상급행정청인 재결청이 가지는 취소권은 상급 행정청에도 취소권이 있음을 전제한다고 생각한다.직권취소 , 직권취소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직권취소
,법학행정,레포트



다.
2. 소극설
감독청은 법률에 명시적 규정이 없는 한 처분청에 대한 그 행위의 취소명령권만을 가질 뿐이지, 직접취소할 권한은 없다고 보는 입장이다.
Ⅲ. 취소권자
행정청이 취소권을 가지는 점에 대하여는 논쟁의 여지가 없지만, 감독청이 취소권을 가지는가에 대하여는 견해가 갈린다.
1. 적극설
감독청에 의한 취소는 하급 행정청의 위법한 행정행위를 시정하는 행definition 자율적 통제수단이므로, 감독청에도 취소권이 인정된다고 보는 견해이다.
순서
Ⅰ. 직권취소의 의의
Ⅱ. 취소권의 근거
Ⅲ. 취소권자
1. 적극설
2. 소극설
3. 사견
Ⅳ. 취소사유
Ⅴ. 취소권의 제한
1. 수익적 행정행위의 취소
2. 침익적 행정행위의 취소
Ⅵ. 취소의 efficacy
Ⅶ. 취소의 취소
1. 취소에 무효사유인 하자가 있는 경우
2. 취소에 단순 취소사유인 하자가 있는 경우
Ⅱ. 취소권의 근거
행정행위의 근거법이 직권취소에 관한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행definition 법률 적합성의 관점에서 볼 때 행정청에는 별도의 명시적 근거규정 없이도 위법한 행정작용을 스스로 시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본다.
직권취소의 의의와 취소권의 근거 및 취소사유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