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1:36
본문
Download :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hwp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205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B%AF%B8%EC%83%9D%EB%AC%BC%ED%95%99%5D%20%EB%B3%91%EC%9B%90%EC%84%B1%20%EB%AF%B8%EC%83%9D%EB%AC%BC%EC%97%90%20%EC%9D%98%ED%95%9C%20%EC%88%98%EC%A7%88%EC%98%A4%EC%97%BC%EA%B3%BC%20%EB%B0%A9%EC%A7%80%EB%8C%80%EC%B1%85-2052_01.gif)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205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B%AF%B8%EC%83%9D%EB%AC%BC%ED%95%99%5D%20%EB%B3%91%EC%9B%90%EC%84%B1%20%EB%AF%B8%EC%83%9D%EB%AC%BC%EC%97%90%20%EC%9D%98%ED%95%9C%20%EC%88%98%EC%A7%88%EC%98%A4%EC%97%BC%EA%B3%BC%20%EB%B0%A9%EC%A7%80%EB%8C%80%EC%B1%85-2052_02_.gif)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2052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B%AF%B8%EC%83%9D%EB%AC%BC%ED%95%99%5D%20%EB%B3%91%EC%9B%90%EC%84%B1%20%EB%AF%B8%EC%83%9D%EB%AC%BC%EC%97%90%20%EC%9D%98%ED%95%9C%20%EC%88%98%EC%A7%88%EC%98%A4%EC%97%BC%EA%B3%BC%20%EB%B0%A9%EC%A7%80%EB%8C%80%EC%B1%85-2052_03_.gif)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2052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B%AF%B8%EC%83%9D%EB%AC%BC%ED%95%99%5D%20%EB%B3%91%EC%9B%90%EC%84%B1%20%EB%AF%B8%EC%83%9D%EB%AC%BC%EC%97%90%20%EC%9D%98%ED%95%9C%20%EC%88%98%EC%A7%88%EC%98%A4%EC%97%BC%EA%B3%BC%20%EB%B0%A9%EC%A7%80%EB%8C%80%EC%B1%85-2052_04_.gif)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2052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B%AF%B8%EC%83%9D%EB%AC%BC%ED%95%99%5D%20%EB%B3%91%EC%9B%90%EC%84%B1%20%EB%AF%B8%EC%83%9D%EB%AC%BC%EC%97%90%20%EC%9D%98%ED%95%9C%20%EC%88%98%EC%A7%88%EC%98%A4%EC%97%BC%EA%B3%BC%20%EB%B0%A9%EC%A7%80%EB%8C%80%EC%B1%85-2052_05_.gif)
최근, 병원성 대장균 O-157나 병원성 원충 클립토스폴리지움에 의한 감염이 큰 문제가 되고 있고, 가축분뇨가 그 감염원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따 지금까지의 조사결과로서는, O-157은 일부 소로부터 검출된 바 있따 또한, 클립토스폴리지움은 사람, 개, 고양이, 소 등 많은 동물에 기생하여, 분변에 의해서 체외에 배출된다고 되어 있따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Download :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hwp( 50 )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
현행의 환경기준으로서는 물에 포함되는 대장균군수가 일정치 이하가 되도록 정해지고 있을 뿐 이지만, 환경청에서는 병원성 미생물 등에 대해 개별 기준을 환경기준에 담도록 검토를 개시하고있따
순서
설명
1993년에 미국의 밀우오키주에서 수도물의 오염에 의해 약 40만명이 감염되어, 사망자는 400명을 넘었다. 이 원충은 통상의 염소소독으로서는 사멸하지 않기 때문에, 수도물로의 혼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클립토스폴리지움은 기생성의 원충으로, 동물이나 사람의 소장 세포에 기생, 증식하여 감염증을 야기한다. 증식한 원충은 오시스트라고 불리는 지름 약 5micron의 구형 껍데기를 쓴 상태로 분변 중에 배설되어, 그것에 의하여 오염된 물이든지 음식물을 중간으로 2차 감염이 야기된다 감염된 경우, 심한 복통을 따르는 설사가 3일~1주간 계속, 면역부전자의 경우에는 사망하는 경우도 있따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
가축분뇨에서 유래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은, 주로 분뇨의 하천 유입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축사오수의 무단방류나 도랑의 저류, 분의 야적 등을 하지 않도록 하여 분뇨가 하천 등에 혼입되지 않도록 적정한 관리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이들 병원성 미생물은 열에 비교적 약해, 60℃이상의 고온이 되는 퇴비화처리는 지극히 유효한 수단이다
[미생물학]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
14쪽
일본에서는, 1996년에 기옥현(사이타마현)의 월생정에서 8,800명(읍민의 약 7할)이 심한 설사와 복통을 앓았는데, 수도물에 혼입된 클립토스폴리지움에 의한 것으로 판명되였다. 이에 잇는 규모의 집단감염도 미국 각지에서 보고되어 있고, Europe에서도 발생하고있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