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수행평가 현장 적용 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04:30
본문
Download : 국어과 수행평가 현장 적용 방안_132784.hwp
선택형 평가는 미리 정해진 답을 전제로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맞는 답을 고르게 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창의력·문제 해결력 등을 평가하기 어렵다는 점(백순근, 1997)에서, 그리고 종합적인 언어 능력보다는 분절적인 언어 능력을 평가한다는 점(천경록, 1998)에서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는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표 1> 제6차 국어과 교육과定義(정의) 내용 체계(예: 듣기 영역)
영역
내 용
듣기
1. 듣기의 본질
1) 듣기의 특성(特性)
2) effect적인 듣기의 방법
3) 듣기의 여러 가지 상황
2. 듣기의 원리
1) 정보 확인의 여러 가지 원리
2) 내용 이해의 여러 가지 원리
3) 평가 및 감상의 여러 가지 원리
3. 듣기의 실제
1) 정보를 전달하는 말 듣기
2) 설득하는 말 듣기
3) 친교 및 정서 표현의 말 듣기
4) formula(공식)적인 말 듣기의 태도 및 습관
<표 2> 제7차 국어과 교육과定義(정의) 내용 체계(예: 듣기 영역)
영역
내 용
듣기
•듣기의 본질
- 必要性
- 목적
- 定義(정의)
- 방법
- 상황
- 특성(特性)
•듣기의 원리
- 청각적 식별
- 내용 확인
- 추론
- 평가와…(To be continued )
다. 선택형 평가는 미리 정해진 ... , 국어과 수행평가 현장 적용 방안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2.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그 동안 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는 선택형 평가 위주로 이루어져왔다. ‘듣기’ 영역을 예로 들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선택형 평가는 미리 정해진 ...
국어과 수행평가 현장 적용 방안
2.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순서
Download : 국어과 수행평가 현장 적용 방안_132784.hwp( 63 )
설명
2.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평가그 동안 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는 선택형 평가 위주로 이루어져왔다. 우선 제6차 국어과 교육과定義(정의) 내용 체계와 제7차 국어과 교육과定義(정의) 내용 체계의 차이를 살펴보면서 제7차의 특성(特性)을 살펴보고자 한다.레포트/인문사회
그 동안 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는 선택형 평가 위주로 이루어져왔다.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에 관하여 논의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어과 교육과정이 표방하고 있는 교육 내용과 그것에 관련된 평가 방법에 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