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전통윤리와 근본불교 윤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04:43
본문
Download : [교양]전통윤리와 근본불교 윤리.hwp
윤내현 교수는 고조선의 종교지도자를 선인이라 불렸다고 해석하였다. 최치원이 난랑비서를 지을 무렵에 선사라는 선도에 관한 歷史책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1)
풍류도의 근원이 이미 신라 이전부터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아 그것이 유교, 불교, 도교를 포함하고 있으며 玄妙한 도라고 한다. 3) 선도를 닦은 사람을 선인이라 하고 단군 역시 그러한 사람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고려시대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최치원의 난랑비서를 인용한 글에서 나타났다. 그 윤리로서 대표적인 것이 바로 유교와 불교의 윤리이다.
![[교양]전통윤리와%20근본불교%20윤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A0%84%ED%86%B5%EC%9C%A4%EB%A6%AC%EC%99%80%20%EA%B7%BC%EB%B3%B8%EB%B6%88%EA%B5%90%20%EC%9C%A4%EB%A6%AC_hwp_01.gif)
![[교양]전통윤리와%20근본불교%20윤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A0%84%ED%86%B5%EC%9C%A4%EB%A6%AC%EC%99%80%20%EA%B7%BC%EB%B3%B8%EB%B6%88%EA%B5%90%20%EC%9C%A4%EB%A6%AC_hwp_02.gif)
![[교양]전통윤리와%20근본불교%20윤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A0%84%ED%86%B5%EC%9C%A4%EB%A6%AC%EC%99%80%20%EA%B7%BC%EB%B3%B8%EB%B6%88%EA%B5%90%20%EC%9C%A4%EB%A6%AC_hwp_03.gif)
![[교양]전통윤리와%20근본불교%20윤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A0%84%ED%86%B5%EC%9C%A4%EB%A6%AC%EC%99%80%20%EA%B7%BC%EB%B3%B8%EB%B6%88%EA%B5%90%20%EC%9C%A4%EB%A6%AC_hwp_04.gif)
![[교양]전통윤리와%20근본불교%20윤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A0%84%ED%86%B5%EC%9C%A4%EB%A6%AC%EC%99%80%20%EA%B7%BC%EB%B3%B8%EB%B6%88%EA%B5%90%20%EC%9C%A4%EB%A6%AC_hwp_05.gif)
![[교양]전통윤리와%20근본불교%20윤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A0%84%ED%86%B5%EC%9C%A4%EB%A6%AC%EC%99%80%20%EA%B7%BC%EB%B3%B8%EB%B6%88%EA%B5%90%20%EC%9C%A4%EB%A6%AC_hwp_06.gif)
[교양]전통윤리와 근본불교 윤리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교양]전통윤리와 근본불교 윤리 , [교양]전통윤리와 근본불교 윤리인문사회레포트 , 교양 전통윤리와 근본불교 윤리
Download : [교양]전통윤리와 근본불교 윤리.hwp( 51 )
순서
전통윤리와 근본불교의 윤리
1. 전통윤리
전통윤리란 현대와 관련을 맺고 있는 과거의 윤리를 의미한다. 또한 선도를 닦은 사람은 산신이 되어 장수했다고 할 수 있다아 『삼국사기』에 선인, 『삼국유사』에 산신이라고 표현되어 있는데 이로 미루어 보…(생략(省略))
[교양]전통윤리와 근본불교 윤리
교양,전통윤리와,근본불교,윤리,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리고 한국歷史에서 최초로 나타난 윤리로서 단군의 홍익인간, 재세이화라고 할 수 있다아
그것이 훗날 최치원의 풍류도이며 그의 歷史가 바로 선사(仙史)라고 한다. 그 가르침이 세워진 근원이 선사(仙史)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그것은 삼교를 포함하여 중생을 교화한다. 또한 그것은 집에 들어오면 효도하고 나아가면 나라에 충성하는 것은 노사구(魯司寇,공자)의 종지이며, 無爲의 일에 처하고 말없는 가르침을 행하는 것은 주주사(周柱史,노자)의 종지이며, 모든 악한 일을 하지 않고 착한 일만을 행함은 축건태자(竺乾太子,석가모니)의 교화와 같다. 이 밖에도 도교, 무교 등이 있을 것이다.4) 즉 단군은 정치 지도자이면서도 종교지도자라고 해석했던 것이다. 이로 미루어 보았을 때 단군은 선(仙)의 지도자였고 장수했던 것이다.
“최치원의 난랑비서에 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풍류(風流)라고 말한다. 물론 지금까지 전해지지는 않고 있다아 그 이전에 선도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에 단군왕검을 선인(仙人)이라고 표현한 데서 찾을 수 있다아 2) 이러한 단군은 산신(山神)이 되었고 1천9백8세를 살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