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ammaeil.co.kr 퇴계의 갈문수사에 대하여 > honammaeil7 | honammaeil.co.kr report

퇴계의 갈문수사에 대하여 > honammaeil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onammaeil7

퇴계의 갈문수사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11:16

본문




Download : 퇴계의 갈문수사에 대하여.hwp




석품(石品)이 이와 같을 경우 세각(細刻)이 곤란함은 물론이다. 고봉이 찬한 갈문의 글자수는 천 칠백 이십 여자에 달했다. 때문에 고봉이 좀 더 착실(着實)한 표현으로 갈문의 내용을 다듬어 주기를 바랬다.


설명





,기타,레포트
순서



칭도(稱道)의 문제: 고봉은 갈문에서 퇴계의 학덕을 높이 기린 바 있는데, 이에 대해 퇴계는 너무나 장황하여 과찬에 가깝다고 여겨 정정해 주기를... , 퇴계의 갈문수사에 대하여기타레포트 ,
칭도(稱道)의 문제: 고봉은 갈문에서 퇴계의 학덕을 높이 기린 바 있는데, 이에 대해 퇴계는 너무나 장황하여 과찬에 가깝다고 여겨 정정해 주기를...
칭도(稱道)의 문제: 고봉은 갈문에서 퇴계의 학덕을 높이 기린 바 있는데, 이에 대해 퇴계는 너무나 장황하여 과찬에 가깝다고 여겨 정정해 주기를 요구했다. 글자 수효가 초과되었다고 해서 전혀 각자가 불가능한 것은 아닐것이다. 그의 생각으로는 자신을 칭찬한 대목이 남에게 보이기에 부끄럽고 후세 사람들에게도 믿음을 주지 못할 것이라 판단했다. 이 점에 퇴계는 유의했다. 퇴계는 구해 놓은 갈석이 예천(醴泉)에서 캐낸 것이기 때문에 돌의 바탕이 매우 거칠고 억세다고 했다. 갈석의 규모에 비해 오·육백자가 초과된 셈이다. 곧 갈문의 서문을 줄이는 문제가 제기된다 퇴계는 감자(減字)의 방도를 고봉에게 일러 줄 필요가 있었다. 그렇게 하면, 대략 사·오백자 혹은 삼·사백자 정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글, 같은 책, 227쪽(장23우1-2).

다. 세각이 어렵다면 글자의 수효를 줄이는 길 밖에 다른 방도는 찾아지지 않는다. 그럴 경우 새길 수 있는 글자의 수효는 천 일·이 백자를 초과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같은 글, 같은 곳(장23우3-좌5).
이를 통해서 우리는 갈문수사가 갈석의 규모에 따른 배자(排字)의 문제로부터 엄격한 제약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520-

라. 그 밖의 문제: 퇴계는 자신이 찬한 행장에 나타나…(생략(省略))

퇴계의%20갈문수사에%20대하여_hwp_01.gif 퇴계의%20갈문수사에%20대하여_hwp_02.gif 퇴계의%20갈문수사에%20대하여_hwp_03.gif 퇴계의%20갈문수사에%20대하여_hwp_04.gif 퇴계의%20갈문수사에%20대하여_hwp_05.gif 퇴계의%20갈문수사에%20대하여_hwp_06.gif


퇴계의 갈문수사에 대하여



Download : 퇴계의 갈문수사에 대하여.hwp( 45 )



레포트/기타
다. 갈석(碣石)과 감자(減字)의 문제: 본디 갈석이란 비석과 비교해서 규모가 작다. . 새기는 글씨의 크기를 잘게(細) 만들면 된다 하지만 돌이 잔 글씨를 이겨낼 수 있는가가 문제로 남는다. 그는 갈문에서 자신의 편지글을 가감없이 그대로 인용한 부분을 줄여서 대강의 뜻만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갈석의 규모 여하에 따라 갈액(碣額)에 새겨질 글자의 수효가 결정된다 퇴계는 중간 정도의 규모를 지닌 갈석을 원한 듯하다.
전체 12,62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onammaei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