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사계심도 특징, 측정 방법, 종류,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3:50
본문
Download : 피사계심도 특징, 측정 방법, 종류,.hwp
피사계심도 특징,심도의 측정방법
2. 심도의 측정방법
3. 기법정리(整理)
다.
1. 피사계 심도란?
설명
1. 피사계 심도란? 2. 심도의 측정방법 3. 기법정리
2. 심도의 측정(measurement)방법
Download : 피사계심도 특징, 측정 방법, 종류,.hwp( 61 )
피사계심도 특징, 측정 방법, 종류, 역할
대부분의 SLR 카메라에는 몸체에 피사계 심도를 미리 알 수 있는 피사계 심도버튼이 부착되어 있다아 피사계 심도버튼을 누르면 조리개의 수치에 따라 조리개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는데, 조여진 상태에서 촛점이 맞는 부분은 인화되었을 때에도 촛점이 맞게 된다
그렇지만 피사계 심도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바로 조리개이다. 따라서 광각렌즈로 찍으면 전체화면이 선명하게 묘사되고 망원렌즈를 사용하면 배경은 흐릿하나 피사체는 선명히 부각된 사진이 찍히게 되는 것이다. 즉 같은 렌즈에서도 조리개를 조일수록(F/16, F/22 등 조리개 수치가 커질수록) 구멍이 작아지고 심도가 깊어지며, 조리개를 열수록(F/4, F/2 등 조리개 수치가 작아질수록) 심도는 얕아지게 된다
이 피사계 심도가 깊다는 것은 사진상에 선명한 부분이 많다는 것이며 얕다는 것은 대체로 촛점을 맞춘 부분만 선명하다는 것을 뜻한다.순서





먼저 피사계 심도는 촛점을 맞춘 곳보다 앞쪽은 얕고 뒤쪽은 깊으며, 또 렌즈의 촛점거리가 짧을수록 깊어지며 촛점거리가 길어질수록, 즉 망원렌즈일수록 심도는 얕아진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피사계 심도란 사진을 찍었을 때 선명하게 나타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아피사체에 촛점을 맞추고 촬영을 한 뒤 인화된 사진을 보면 촛점을 맞춘 피사체뿐 아니라 앞뒤로 선명하게 찍혀져 나오는 부분, 즉 그 선명한 정도를 피사계 심도라고 한다.
대개의 경우 심도가 깊으면 사진이 선명하게 묘사되므로 핀트가 잘 맞은 뚜렷한 사진이 된다 대부분의 아마추어 사진가는 심도에 대한 槪念이 없으므로 심도가 깊지도 얕지도 않은 사진을 만들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