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ge]보강토옹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22:28
본문
Download : 보강토옹벽.hwp
보강토옹벽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1) 절토의 보강토 공법
1. 보강토공법의 종류 1) 절토의 보강토 공법 (1) 평면형 재료 : 지오텍스타일, 지오그리드 격자형 토목섬유, PP섬유, PET섬유, 직포매트 등 (2) 띠형 재료 : 금속제 보강재 아연도강판,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강, 띠형섬유 등 2) 성토의 보강토 공법 (1) 그라운드 앵커(어스앵커) (2) 소일네일링 공법
설명
2. 보강토 옹벽(MES :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2) concept(개념) : 흙은 그 입자자체가 고체이지만 암석이나 강재 , 콘크리트 등과 같은 재료와는 달리 입자들이 서 로 강하게 부착되어 있지 않다.
아연도강판,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강, 띠형섬유 등
(1) 그라운드 앵커(어스앵커)
보강재가 설치된 보강토제에 수직응력이 가해지면 흙은 횡방향으로 변형을 일으키려 하며, 보강재와 이와 접촉하고 있는 흙입자 사이에는 이러한 흙의 변형을 억제하려는 마찰력이 발생하고 보강재에는 인장력이 유발된다 . 이 때 보강재에 유발되는 인장력은 흙과 보강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과 같고, 보강재의 인장강도가 이 값보다 크다면 보강토체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된다. 따라서 흙은 불연속 재료로 볼 수 있으며 , 이 때문에 외력과 자중에 의하여 쉽게 흩어져 파괴 된다 . 이와 같은 흙 속에 인장력을 갖고 있는 재료를 포설하거나 삽입하여 흙의 성질을 새롭게 개 량하는 것이 보강토 공법의 원리이다 .
전 세계적으로 우수한 경제성과 수려한 외관 및 시공의 간편성 등에 의해 토목섬유 보강재로 이용한 보강토 구조물의 건설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아 일반적으로 보강토 공법은 토체내에서 보강재를 삽입하여 토류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 이렇게 시공된 흙/보강재 복합건설재료는 기존의 지 반에 비하여 改善된 인장 및 압축property(특성)을 갖는다.
Download : 보강토옹벽.hwp( 81 )
1) 定義(정의) : 흙을 성토하면서 인장력이 큰 스트립의 보강재(철, 알미늄, 플라스틱, 합성섬유 등)을 일정한 간 격으로 매설하여 보강재와 흙 사이의 마찰작용으로 토압을 감소하도록 설계하는 옹벽
2) 성토의 보강토 공법
순서
(2) 띠형 재료 : 금속제 보강재
1. 보강토공법의 종류
격자형 토목섬유, PP섬유, PET섬유, 직포매트 등
(2) 소일네일링 공법
보강토옹벽,보강토 공법 ,성토
보강토 공법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종류는 크게 시트(sheet)형 보강재, 띠(strip)형 보강재, 그리드(grid)형 보강재 등의 3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특히 보강재로서는 1980년대 초에 개발된 그리드 형태의 고강도 토목섬유인 지오그리드(geogrid)와 지오텍스타일(geotextile)의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다아
(1) 평면형 재료 : 지오텍스타일, 지오그리드





다. 흙은 압축력에는 강하지만 인장력에는 큰저항력을 가지지 못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