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ammaeil.co.kr 새만금 간척 사업 > honammaeil1 | honammaeil.co.kr report

새만금 간척 사업 > honammaeil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onammaeil1

새만금 간척 사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14:19

본문




Download : 새만금 간척 사업_2099571.hwp






1. 사업구역
▷ 전라북도 군산, 김제, 부안의 18개 읍.면.동
- 군산 : 비응도,내초,옥구,옥서,회현,대야,옥도(7개)
- 김제 : 광활,죽산,만경,청하,성덕,부량,진봉(7개)
- 부안 : 계화,동진,하서,변산(4개)
2. 개발면적
▷ 총 면 적 : 40,100ha
▷ 토지조성 : 28,300ha
▷ 담 수 호 : 11,800ha
3. 사업비
- 2조2137억
4. 사업기간 (1991년-xxxx년)
-외곽시설 : 13년(1991-2003년)
-내부개발 : 9년(2003년-xxxx년)
5. 토지 이용계획 : 28,300ha
- 식량단지 : 17,950ha
- 근교 원예단지 : 2,500ha
- 수산 개발단지 : 2,000ha
- 농촌도시 :…(drop)







새만금 간척 사업에 대한 자료(data)입니다.새만금간척사업

설명
새만금 간척 사업에 대한 자료입니다. 새만금간척사업 , 새만금 간척 사업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새만금 간척 사업_2099571.hwp( 39 )


새만금%20간척%20사업_2099571_hwp_01.gif 새만금%20간척%20사업_2099571_hwp_02.gif 새만금%20간척%20사업_2099571_hwp_03.gif 새만금%20간척%20사업_2099571_hwp_04.gif 새만금%20간척%20사업_2099571_hwp_05.gif 새만금%20간척%20사업_2099571_hwp_06.gif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Ⅰ. 서론

Ⅱ. 새만금 간척사업의 사업개요
1. 사업구역
2. 개발면적
3. 사업비
4. 사업기간
5. 토지 이용계획

Ⅲ. 새만금 사업 일지

Ⅳ. 사업의 쟁점사항에 대한 입장(농업기반공사, environment(환경) 단체)
1.사업의 경제성
2. 수질문제
3. 갯벌의 재생 가능성
4. 사업의 중단 가능성

Ⅴ. 결론










Ⅰ. 서론

어떤 사회문제에 마주향하여 도 가치평가가 다를 수 있고, 그래서 찬반 opinion(의견)이 대립할 수 있다아 그런데 새만금간척사업만큼 가치평가가 다르고 찬반opinion(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한 것은 달리 그 예를 찾기 힘들 것이다.

Ⅱ. 새만금 간척사업의 사업개요

새만금 간척사업은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구지역인 전라북도 군산시·김제시·부안군 일대에 발달한 간석지를 식량과 물을 확보하기 위해서 방조제를 쌓아 농지와 호소를 만드는 政府(정부)의 대단위농업 종합 개발계획을 말한다. 그래서 가히 진퇴양난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고 말해서 틀리지 않을 것이다. 이미 10여 년 전에 착공하여 방조제공사가 70%정도 진행되고 1조원이 넘는 공사비가 이미 투입된 사업인데도 사회 각계의 반대에 부닥쳐 2년여 동안 공사를 중단하고 민관 공동의 조사단까지 구성하여 조사활동을 벌였고 그 조사에서조차 opinion(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할 정도였으니 찬반opinion(의견)이 얼마나 대립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아 이 새만금 간척사업에 마주향하여 알아보고 거기에 관한 나의 입장을 말하고자 한다.
레포트/의약보건


새만금 간척 사업



다.
전체 12,63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onammaei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