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17:02본문
Download : 오수.hwp
갈래 : 설화
성격 : 교훈적
재재 : 개
주제 : 살신보은(殺身報恩)
…(To be continued )
공공연히 큰 은혜를 저버린다네. (公然負大恩...
설명
순서
Download : 오수.hwp( 59 )


레포트/감상서평
오수
사람은 짐승이라 불리는 것을 부끄러워하지만 (人恥 爲畜)공공연히 큰 은혜를 저버린다네. (公然負大恩... , 오수감상서평레포트 ,
,감상서평,레포트
다.
<`보한집(補閑集)`>
▶ the gist 요점
지은이 : 최자(崔滋 1181-1260) 자는 수덕(樹德) 호는 동산수(東山 ), 최충의 후손으로 이규보에게 글재주를 인정받았다.
사람은 짐승이라 불리는 것을 부끄러워하지만 (人恥 爲畜)
사람은 짐승이라 불리는 것을 부끄러워하지만 (人恥 爲畜)
공공연히 큰 은혜를 저버린다네. (公然負大恩)
주인이 위태로울 때 주인 위해 죽지 않는다면 (主危身不死)
어찌 족히 개와 한 가지로 논할 수 있겠는가. (安足犬同論)
진양공(晉陽公)이 문객(門客)들에게 그 전기(傳記)를 지어 세상에 전파하도록 하였으니. 세상에 은혜를 입은 자들이 갚을 줄 알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인로의 <파한집>을 보충한다는 뜻에서 <보한집>을 지었는데, 양자의 문학관은 상반되어서 최자는 사어(辭語)와 성률(聲律)보다는 기골(氣骨)과 의격(意格)을 앞세우는 입장을 취하고 있따 말하자면 이인로는 `형식`을, 최자는 `내용`을 더 중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