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7차 교육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3:07본문
Download : 국어 7차 교육과정.hwp
2) 초·중·고등학교의 국어과 교육목표(goal)를 일원화하여 제시하였다. 즉 국어과의 지향점이 인지적 교육내용(지식의 습득, 기능의 향상), definition 적 교육내용(태도, 가치, 동기, 습관) 등에 대한 학습을 균형있게 하여 지적으로 성숙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균형잡힌 한국인을 양성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국어과 교육목표(goal)의 특징으로는 크게 2가지가 있다
1) 국어과의 목표(goal)는 `전문`과 국어 교육의 내용으로서의 지식, 기능, 태도에 관한 학습의 결과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도달점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즉, 초등학교 1학년이 도달해야 할 교육 목표(goal)는 고등학교 1학년에서 도달해야 할 교육목표(goal)와 동일하며 다만, 학습자의 학습능력 수준(학습자의 학습준비도, 선수학습주순)과 성취수준(학습자의 학습도달도)에 따라 국어사용 양상이 얼마만큼 정확하고, 해석적이며, 비판적이고, 창의적인가의 수준이 달라진다는 점이 학교급별 성취수준의 차이로 나타난다.
제 7차 교육 과정에 제시한 국어과의 교육 목표(goal) 언어 활동과 언어와 문학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언어 활동의 맥락과 목적과 대상과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국어를 정확하고 결과 적으로 사용하며, 국어 文化(culture) 를 바르게 이해하고, 국어 발전과 민족의 언어 文化(culture) 창달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국어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나. 정확하고 결과 적인 국어사용의 원리와 작용 양상을 익혀, 다양한 유형의 국어 reference(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사상과 정서를 창의 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레포트/인문사회
국어 7차 교육과정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
다. 국어 세계에 흥미를 가지고 언어 현상을 계속적으로 탐구하여, 국어의 발전과 국어 文化(culture) 창조에 이바지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 향상’을 국어교육의 …(To be continued )
다.
가. 언어 활동과 언어와 문학에 대한 기본 지식을 익혀, 이를 다양한 국어사용 상황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국어7차교육과정레포트 , 국어 7차 교육과정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국어 7차 교육과정.hwp( 20 )
설명
국어7차교육과정레포트
국어 7차 교육과정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국어과 목표(goal)
국어과의 교육목표(goal)는 국어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도달하기를 기대하는 궁극적인 도달점, 즉 성취기준의 의미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