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ammaeil.co.kr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 taboo > honammaeil3 | honammaeil.co.kr report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 taboo > honammaei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onammaeil3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 taboo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3:41

본문




Download :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hwp




結論적으로 금기시한 행동은 처음 임신한 임산부와 그렇지 않은 임산부에게 달리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음해본 사람과 아닌 사람의 임신 했을 때의 금기에 대한 사고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일것이다 대부분 젊은 산모였기 때문에 2/3은 처음 임신한 것이었고 나머지 1/3은 처음이 아니라고 답변해 주었다. 내가 주변에 결혼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아는 언니에게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주고 답변을 받기도 했으며, 네이버에 있는 임산부카페에 가입해서 메일을 보내고 설문에 답을 얻기도 하였다. 임산부에 대한 taboo는 행동의 금기와 말의 금기 2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금줄을 통해 외부 사람을 막는 것과 갓난아기를 무겁다고 말하면 아이가 약해지기 때문에 금했던 것을 들 수 있다 내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금기는 행동의 금기로만 했다.
2. 본문

설명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 taboo

순서
그것에는 내가 알고 있는 것도 있었고 처음 보는 것도 있었다. 몇몇을 제외하곤 서울지역에서 이루어 졌다.


1)첫 번째 질문은 임신경험이 ‘처음인지 아닌지’였다. 우리가 미신을 믿지 않는다고 하면서도 가슴 한 구석에 고이 갖고 있는 taboo가 무엇이 있는지 수업시간에 몇 가지 예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그리고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느껴서인지 처음부터 미신이라는 말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대부분 이런 얘기는 미신이라는 얘기가 나왔었다. 대체로 임산부들의 연령은 20대 후반에서 30대 중반이었으며 주로 3개월~7개월인 산모였다. 약 30명에게 설문을 조사했지만 단답식으로 ‘들어보지 못했다’라며 성의가 부족한 설문지를 제외하면 20명으로 통계를 조사하였다. 아마도 이것은 인터넷의 발달로 많은 경험과 정보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1. 머리말




미신이란 용어는 많이 들어보기도 했었지만 속신, taboo라는 용어는 이 ‘민속과 문학’이라는 교양 수업을 통해서 처음 듣게 되는 용어였다.

민속과 문학,현대 생활의 속신,taboo

다.

Download :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hwp( 47 )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7057_01.gif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7057_02_.gif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7057_03_.gif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7057_04_.gif [민속과 문학] 현대 생활의 속신 --7057_05_.gif

1. 머리말 미신이란 용어는 많이 들어보기도 했었지만 속신, taboo라는 용어는 이 ‘민속과 문학’이라는 교양 수업을 통해서 처음 듣게 되는 용어였다. 과거의 어머니들은 미신을 많이 믿는데 현대 과학과 정보의 사회에 살고 있는, 인터넷을 통해 여러 임산부들과 교류를 통하는 신세대의 임산부들은 과연 이 속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하게 되었다. 대체로 임산부에게 금기를 하는 이러한 내용에는 ‘낙태’ 또는 ‘아이의 잘못됨’ 이라는 것이 많았기 때문에 산모들은 설문지 내용에 부정적인 답변이 많았었다. 우리가 미신을 믿지 않는다고 하면서도 가슴 한 구석에 고이 갖고 있는 taboo가 무엇이 있는지 수업시간에 몇 가지 예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전체 12,47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onammaei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