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15:22본문
Download : 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hwp
우리의 용어(말) 하나는 교단의 모습을 담는 중요한 수단이며, 교단이 일반 대중에게 제대로 다가가는 중요한 매개이다. 본래의 모습을 회복…(drop)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해 현실과 문제점을 찾고 교육을 통해 정체성 회복을 위한 방안등을 작성한 글입니다.
일반적으로 거기에 해당되는 말이 없는 경험들은 우리 의식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그 사회속에서 통용되는 논리에 담긴 뜻이 아니면 이해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비슷한 용어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그렇고 ꡐ創ꡑ이 아닌 ꡐ開ꡑ를 선택하신 교조의 본의를 계승하기 위해서도 그렇다.
교단의 고유용어와 논리와 규범을 바르고 풍성하게 가꾸는 일과 이를 일반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 가도록 하는 일의 중요성을 알리는 이론(理論)이다.
교단창립 제3대 제2회를 열어가면서 우리는 교단 5대 경륜의 첫 번째 project로 정체성 확립을 내걸었다.한국의정체성과교육의방향
,법학행정,레포트






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
Ⅰ서론
Ⅱ 정체성
1. 의의
2. 자아정체성
3. 문화적 정체성(文化的 正體性)
4. 민족의 정체성
Ⅲ. 한국의 정체성
1. 한국의 정체성과 한국인의 정체성
2. 한국 정체성의 문제와 현실
Ⅳ. 교육
1. 의의
2. 교육의 기능과 발전
3. 교육의 기본구조
Ⅴ.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교육
1. 한국의 교육제도
2. 교육에 대한 정체성 대두
3. 한국 정체성에 관한 교육의 문제점(問題點)
Ⅵ.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교육제도의 improvement
1. 한국 교육의 전제 조건
2. 열린교육사회(Edutopia)
3. 교육의 지향에야할 가치
4. 제도적 실천 방안(方案)
얼마전 우리나라 교육행정 책임자가 자주 쓰는 ꡐ창발성ꡑ이란 용어는 북한의 법률 및 일상 용어라며 우리 교육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일이 되기 때문에 이 용어의 사용을 중단하자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항의를 받은 일이 있따
ꡐ창발ꡑ이 ꡐ창의ꡑ보다 적극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해도 왠지 우리 정서에는 낯이 설다.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hwp( 69 )
다. 중앙총부 구내를 거닐다 보면 학림사 앞 정원에 ꡐ창교정신...ꡑ이라는 돌이 새겨진 문구를 발견하게 된다된다. 우리의 참모습 가꾸기다.
에리히 프롬에 의하면 우리가 어떤 일을 경험하더라도 그것이 모두 우리 의식속에 들어오지 못하고 대부분 억제되고 마는데 이는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말·논리·사회규범이라는 삼중의 ꡐ사회적 필터ꡑ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전에 ꡐ개교ꡑ라는 용어가 있음에도 굳이 ꡐ창교ꡑ라는 말을 사용한데는 나름대로 더 적실한 의미를 담으려는 뜻이 있었을 것이나 별 차이가 아니면 ꡐ개교ꡑ라는 용어를 써서 우리의 모습을 일관되게 표현했으면 하는 생각이다.한국의정체성과교육의방향 , 한국의 정체성과 교육의 방향법학행정레포트 ,
순서
설명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해 현실과 문제가되는점 을 찾고 교육을 통해 정체성 회복을 위한 方案등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