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시험 - 노동법 40회(1998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07:14본문
Download : 1차시험 - 노동법 40회(1998년).hwp
.
② 사용자의 해고권과는 전혀 무관하다.
④ 국가에 관련되어 노동기회나 최저생활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5. 산업재해보상insurance법상 업무상 재해에 해당될 수 없는 것은?
① 업무시간중 사적 외출중의 재해
② 통근버스로 통근도중의 재해
③ 작업종료후 작업장 요약중의 재해
④ 회사 운동대회중의 재해
⑤ 출장근로중의 재해
6. 단시간근로자에 대한 다음 설명(explanation) 중에서 가창 옳은 것은?
① 단시간근로자란 1주간의 所定勤勞時間이 통상근로자의 그것에 비해 3할 이상 짧은 자를 말한다.
⑤ 사용자가 단시간근로자를 해고하고자 하는 때에는 해고예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된다.
③ 10인 이상의 단시간 근로자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단시간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칙을 통상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칙과 별도로 작성하여야 한다.
⑤ 헌법상 근로의 의무가 언제나 근로권에 우선한다.
④ 단시간근로자의 임금산정 단위는 시간급을 원칙으로 한다.② 윌급근로자로서 6월이 되지 못한 자
,법학행정,레포트
설명
Download : 1차시험 - 노동법 40회(1998년).hwp( 65 )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1차시험 - 노동법 40회(1998년)
3. 근로기준법상 해고예고의 적용예외자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
① 수습사용중의 근로자
② 윌급근로자로서 6월이 되지 못한 자
③ 3월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사용된 자
④ 계절적 업무에 6윌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사용된 자
⑤ 일용근로자로서 3윌을 계속근무하지 아니한자
4. 근로권에 관한 설명(explanation) 중 가장 옳은 것은?
① 우리 헌법상 의무이지 권리는 아닐것이다.
② 사용자는 단시간근로자에 대하여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시킨 때에는 통상임금의 50%이상을 가산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7. 노동법의 원리를 설명(explanation)하는 가운데 `정의(定義) 이 생활에 따를 것이요. 생활이 정의(定義) 에 따를 수는 없다`고 한 학자는?
① Otto von Gierke ② Hugo Sinzhelnler ③ Lyon-Caen ④ Saint Simon ⑤ Gustav Radbruch
8. 근로기준법상 average(평균)임금을 기초로 하여 산정하지 않는 것은?
① 퇴직금 ② 휴업수…(To be continued )
3. 근로기준법상 해고예고의 적용예외자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 ① 수습사용중의 근로자 ② 윌급근로자로서 6월이 되지 못한 자 ③ 3월... , 1차시험 - 노동법 40회(1998년)법학행정레포트 ,
③ 3월...
3. 근로기준법상 해고예고의 적용예외자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
① 수습사용중의 근로자
다.
③ 헌법상 근로의 의무와 충돌되므로 무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