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12:40본문
Download : 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분석.hwp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모든 것이 허용된다된다. 초월적이고 객관적인 가치 기준이 우리 앞에 확립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신의 계율이나, 플라토적인 형상도 없으며, 그 외 어떤 것도 없다. 사르트르는 기치 기준의 유일한 토대는 인간의 자유이며, 그러므로 누군가가 채택하려고 결정한 가치 기준은 외적인 그리고 객관적인 것에 의해서 정당화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삶은 부조리하다. 이는 우리가 어떤 목적에 따라 만들어지지 않았고, 또 신이 창조한 것도 아니며, 진화에 따라 생겨난 것도 아니고, 그 무엇에 의해서도 창조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2. 사르트르의 인간론
어떤 의미에서 사르트르는, 인간의 본질에 대해 옳고 그런 theory(이론)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본질 같은 것이 있다는 것을 부인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에 관한 일반적인 진술을 전형적인 실존주의자답게 거부한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analysis
사르트르,우주론과,인간론,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분석.hwp( 92 )
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analysis
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분석 , 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사르트르 우주론과 인간론
설명
사르트르의 우주론과 인간론 analysis(분석)
1. 사르트르의 우주론
하나의 전체로서의 세계에 대한 사르트르의 가장 중요한 주장은 신의 존재에 대한 거부이다. 그는 그것을, 인간의 존재는 그 본질에 선행한다고 표현했다. 인간의 삶에는 궁극적인 목적이나 의미가 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는 이 부정적인 結論에 도달하기 위한 논의는 하지 않고 있다 다만 신을 논의하는 것은 그 자체가 자기 모순이라고 주장하고 있을 뿐이다. 니체처럼, 그는 신의 부재가 우리 모두에게 가장 중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단지, 우리가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될 뿐 그 다음 우리…(생략(省略))
다. 그는 이 문제가 이전의 사상가들에 의해서 충분히 논증된 것으로 생각한 듯하고, 그 자신의 저서에서는 그 결과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즉, 무신론자는 단지 형이상학적인 면에서 기독교인과 다른 것이 아니라, 인간 존재에 관해서 깊이 있는 다른 견해를 가져야만 한다는 데 있어서 다르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 세계 내에서 우리 자신들을 전적으로 스스로를 돌보게끔 버림받은, 내던져진 존재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