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출석수업대체시험 核心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7:08본문
Download : 20212_출석대체_국문3_근현대문학사.pdf
㉡ 문학작품에 대한 현재적 가치를 중심으로 대상을 선택하여 서술하는 경우: 사회적 전환기마다 세계관도 달라지고, 歷史(역사)서술도 다시 논의되기 마련
제1부 한국 근현대 문학과 문학사 서술의 문제
㉠ 歷史(역사)적(당대적)가치를 중심으로 객관적 시각에서 문학사적 사실을 서술하는 경우
- 실증적 ․ 문헌적 태도 강조
➀ 정전(正典, canon)
- 문학적 관습이나 패러다임 變化(변화)의 ‘최초’가 될 만한 작품, 한 시대의 징표로 삼을 만한 요소를 지닌 작품: 그 시대의 정신을 보여주는 작품
- 작품의 예술적 가치 < 작품의 歷史(역사)적 가치
➁ 문학사 서술은 ‘무엇을’, ‘어떻게’ 쓰는가의 문제: 문학사를 서술할 때는 문학적 사실의 선택과 배열, 문학연구의 시각과 가치 평가의 문제가 매우 첨예하게 드러남
순서
근현대문학사,방통대근현대문학사,방송대근현대문학사,근현대문학사시험,근현대문학사요약,근현대문학사출석수업대체
- 서로 다른 시각을 지닌 해석자들의 다양한 해석에 의해 당대뿐 아니라 future 에도 지속적으로 심미적인 효과(效果)를 발휘할 작품
제1부 한국 근현대 문학과 문학사 서술의 문제 제1장 한국 근현대 문학과 문학사 서술의 문제 제2장 한국 근현대 문학의 사회사 제3장 한국 근현대 문학장의 형성과 변화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제2장 한국 근현대 문학의 사회사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 어느 집단이든지 전문가들이 당대의 문학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선정한 작품
설명
1) 문학사 서술의 시각과 대상의 선택
제1장 한국 근현대 문학과 문학사 서술의 문제
- ‘정전’은 가장 훌륭한 작품이어서 선택된다기보다 많은 사람들의 합의에 의해 선택되는 것
2) 문학사 서술 상 고려해야 할 요소
③ 문학사 집필 시 작품에 대한 두 가지 태도
1. 문학사란 무엇인가?
④ 객관적 사실과 연구자의 주관적 시각의 절묘한 조화’가 필요함. 객관적 사실에 대한 끊임없는 조사와 탐구를 바탕으로 문학사를 보는 시각에 의해 문학사는 언제든 다시 씌어질 수 있음
제1장 한국 근현대 문학과 문학사 서술의 문제
제1부 한국 근현대 문학과 문학사 서술의 문제
➀ 작품이 생성된 배경, 그것이 독자층에게 어떻게 읽혀졌는가에 대한 정보와 그것이 어떤 문학적 전통을 이루었는지에 대한 것을 통시적이고 총체적으로 서술하는 것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제3장 한국 근현대 문학장의 형성과 alteration(변화)
Download : 20212_출석대체_국문3_근현대문학사.pdf( 46 )
① 외재적 요소: 사상적 요소, 생활문화양식 사회적 제도와 歷史(역사)적 사건
2. 문학사 서술의 시각과 문제





- 중략 -
- ‘정전’이 확립되는 것은 누군가 선택하고 배제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
2021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출석수업대체시험 核心체크
- 그 자체가 ‘전통’을 형성하는 과정, 가치판단이 개입된 행위
② 내재적 요소: 문학적 관습, 문예사조, influence(영향)관계
② 정전화(正典化) 과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