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23:32
본문
Download :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_1142890.hwp
여기서 가장 확실한 이혼사유란 배우자 중 한 사람이 정치적인 반항자일 경우이다.
친족 관계의 제한을 가져온 것은 무엇보다도 가…(생략(省略))
우리가모르고있는북한의사회생활 ,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감상서평레포트 ,
순서
Download :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_1142890.hwp( 98 )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우리가모르고있는북한의사회생활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
다. 자녀의 양육은 남자나 여자가 하는데, 여자가 할 경우 자녀수에 따라 월수입의 10~30%의 범위내에서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다 북한에서 이혼여성은 직장생활에 제약을 안받기 때문에 생활은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그러나 이혼여성과 재혼을 꺼리는 사회적 관습 때문에 여성들은 이혼하기를 꺼려한다. 북한은 1956년, 합의이혼 절차를 폐지하고 반드시 재판에 의해서만 이혼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이는 북한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가부장제 이념의 한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북한작가 백남룡이 쓴 소설 ‘벗’에서처럼, 꼭 헤어져야 할 사정이 아니고서는 당사자간의 화해와 재결합을 유도하는 것이 하나의 원칙처럼 되어 있다 그러나 재혼은 자유롭다.레포트/감상서평
1. 북한의 나라꽃
2. 북한의 국보 1호와 보물 1호
3. 북한 돈 1원은 남한 돈으로 얼마일까?
4. 가장 인기 있는 직업은?
5. 가장 갖고 싶은 것 : 5장 6기
6. 북한에서는 집을 팔고 살 수 있을까?
7. 복권이 있을까?
8. 명절
9. 민속 명절 때 민족 대이동이 있을까?
10. 남한보다 앞서 개발된 것은?
11. 북한의 의무교육은 몇 년일까?
12. 북한의 초·중·고 수업 : 4·4·2년
13. 북한의 새 학기는 언제 처음 할까?
14. 북한 학생들이 가장 많이 공부하는 과목은?
15. 북한에도 새 학년마다 반편성을 할까?
16. 북한에도 입시경쟁이 있을까?
17. 북한에도 재수생이 있을까?
18. 가장 경쟁률이 높은 대학은?
19.북한 학생들은 남한보다 시험을 더 많이 볼까?
20. 북한 youth들 사이에서도 긴 머리가 유행할까?
21. 북한 youth들은 1년에 영화를 몇 편이나 볼까?
22. 북한에도 오빠부대나 펜 레터가 있을까?
23. 북한에도 쌍꺼풀 수술을 할까?
24. 북한의 미인형
25. 북한에도 연애 결혼이 가능할까?
26.북한의 결혼식
27. 북한에도 남아선호사상이 있을까?
28. 북한에서 이혼은 어떤 절차를 거쳐 할 수 있을까?
29. 북한의 친족 관계
30. 북한에도 교통체증이 있을까?
31. 북한의 행정 구역
32. 교예
33. 단군 95
34. 북한의 은어
35. 북한의 언어
36. 북한의 신문
37. 북한의 노래
38.북한에도 표절 시비가 있습니까?
39. 북한에도 공중 목욕탕이 있을까요?
40. 북한 youth들이 제일 좋아하는 스포츠
41. 북한에서도 올림픽에 출전하여 메달을 딸 경우 연금을 줍니까?
42. 북한에서는 탤런트나 개그맨을 어떻게 선발하나요?
28. 북한에서 이혼은 어떤 절차를 거쳐 할 수 있을까?
북한 사회의 이혼율은 남한에 비해 극히 낮은 편이지만 그들도 이혼을 한다. 때문에 이혼에 이르기까지는 사실상 매우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그리하여 서로 인지되는 친족은 대개 6촌 이내로 되어 있으며, 그나마도 4촌만 넘으면ꡐ먼 친척ꡑ으로 치부된다 북한에서는 이미 60년대부터 항렬이나 촌수를 따지는 풍습이 아예 사라지고 없으며, 부모나 조부모로부터 자신의 본(本)이 어디고 선대에 어떠한 인물이 있었다는 이야기를 거의 들어보지 못했다는 것이 탈북자들의 전언이다.
이혼 판결시 사유재산이 없기 때문에 재산분할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 다음 사유는 배우자의 부정과 폭행, 건강상의 이유이다. 법적으로 등록만 하면 성립된다
29. 북한의 친족 관계
북한에서도 유교전통이 사라지면서 가족을 넘는 친족관계는 제한되어 있다 북한의 경우 친족관계의 범위가 좁혀진 것은 여타 자본주의국가들처럼 산업화와 핵가족화의 影響(영향)보다 문벌·문중·가문 중심의 봉건적 가족제도를 의도적으로 해체하는 과정에서 정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