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ammaeil.co.kr 주부의 취업여부 및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 수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honammaeil6 | honammaeil.co.kr report

주부의 취업여부 및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 수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honammaeil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onammaeil6

주부의 취업여부 및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 수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9 22:31

본문




Download : 주부의 취업여부 및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수준의 관계.hwp










I. 서론 1, 1. 문제의 제기 1, 2. 연구의 목적 3, , II. 理論적 배경 4, 1.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심리적 부담 4, 2. 성역할 理論 6, 3. 우울 11, 4.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과의 관계 15, , III. 연구방법 18, 1. 조사대상 및 수집 방법 18, 2. 도구 19, 3. 절차 및 analysis 20, , IV. 결과 2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特性) 21, 2. 성역할 정체감 유형 분류 23, 3. 취업여부 및 성역할 유형별 우울수준 24, , V. 논의 및 결론 28, , 참고문헌 33, 부 록 39, ABSTRACT 46, , 크기 : 100K

Download : 주부의 취업여부 및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수준의 관계.hwp( 81 )



주부,취업,성역학,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I. 서론 1
1. 문제의 제기 1
2. 연구의 목적 3

II. 理論(이론)적 배경 4
1.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심리적 부담 4
2. 성역할 理論(이론) 6
3. 우울 11
4.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과의 관계 15

III. 연구방법 18
1. 조사대상 및 data(자료)수집 방법 18
2. 도구 19
3. 절차 및 分析(분석) 20

IV. 결과 2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property(특성) 21
2. 성역할 정체감 유형 분류 23
3. 취업여부 및 성역할 유형별 우울수준 24

V. 논의 및 conclusion(결론) 28

Reference List 33
부 록 39
ABSTRACT 46


본 연구는 가정과 직장생활을 병행하는 취업주부와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에 보다 주력하고 있는 전업주부의 우울 수준을 그 취업여부와 성역할 정체감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전체 주부를 대상으로 남성성 점수와 여성성 점수의 각 중앙치를 구하여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다음의 네 집단으로 나누었다: 양성형 집단(남성성 점수와 여성성 점수가 모두 중앙치 보다 높은 집단), 남성형 집단(남성성 점수만 중앙치 보다 높은 집단), 여성형 집단(여성성 점수만 중앙치 보다 높은 집단), 미분화형 집단(남성성 점수와 여성성 점수가 모두 중앙치 보다 낮은 집단). 취업여부는 집단간 변인이고, 성역할 정체감은 집단내 변인으로 집단(취업주부, 전업주부) × 성역할 정체감 유형(양성형, 남성형, 여성형, 미분화형)의 요인설계로서 우울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이원변량分析(분석) 하였고 결과에 따라 사후검증 하였다…(생략(省略))
설명


주부의%20취업여부%20및%20성역할%20정체감과%20우울수준의%20관계_hwp_01.gif 주부의%20취업여부%20및%20성역할%20정체감과%20우울수준의%20관계_hwp_02.gif 주부의%20취업여부%20및%20성역할%20정체감과%20우울수준의%20관계_hwp_03.gif 주부의%20취업여부%20및%20성역할%20정체감과%20우울수준의%20관계_hwp_04.gif 주부의%20취업여부%20및%20성역할%20정체감과%20우울수준의%20관계_hwp_05.gif 주부의%20취업여부%20및%20성역할%20정체감과%20우울수준의%20관계_hwp_06.gif
주부의 취업여부 및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 수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순서



I. 서론 1, 1. 문제의 제기 1, 2. 연구의 목적 3, , II. 이론적 배경 4, 1.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심리적 부담 4, 2. 성역할 이론 6, 3. 우울 11, 4.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과의 관계 15, , III. 연구방법 18,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18, 2. 도구 19, 3. 절차 및 분석 20, , IV. 결과 2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2. 성역할 정체감 유형 분류 23, 3. 취업여부 및 성역할 유형별 우울수준 24, , V. 논의 및 결론 28, , 참고문헌 33, 부 록 39, ABSTRACT 46, , FileSize : 100K , 주부의 취업여부 및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 수준의 관계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주부 취업 성역학

다. 연구대상은 교사, 공무원, 간호사, 보험설계사,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는 취업주부 224명과 전업주부 200명이었고, Beck 우울척도와 한국 성역할 검사를 측정(測定) 도구로 사용하였다.
전체 12,54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onammaei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