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ammaeil.co.kr [의학,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요약 > honammaeil7 | honammaeil.co.kr report

[의학,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요약 > honammaeil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onammaeil7

[의학,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8:03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정리.hwp




입술과 볼의 점막밑층에는 점액샘과 장액샘으로 이루어진 혼합샘이 무수히 많은데 위치에 따라 각각 입술 샘과 …(생략(省略))





[의학,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요약
다. 결합조직 유두는 상피에 깊게 함입되어 있지 않다.

Download : [의학,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정리.hwp( 76 )




설명
[의학,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요약

[의학,약학]%20동물%20조직학%20-%20입에서%20항문에%20이르기까지의%20소화기계통을%20조직학적으로%20정리_hwp_01.gif [의학,약학]%20동물%20조직학%20-%20입에서%20항문에%20이르기까지의%20소화기계통을%20조직학적으로%20정리_hwp_02.gif [의학,약학]%20동물%20조직학%20-%20입에서%20항문에%20이르기까지의%20소화기계통을%20조직학적으로%20정리_hwp_03.gif [의학,약학]%20동물%20조직학%20-%20입에서%20항문에%20이르기까지의%20소화기계통을%20조직학적으로%20정리_hwp_04.gif [의학,약학]%20동물%20조직학%20-%20입에서%20항문에%20이르기까지의%20소화기계통을%20조직학적으로%20정리_hwp_05.gif [의학,약학]%20동물%20조직학%20-%20입에서%20항문에%20이르기까지의%20소화기계통을%20조직학적으로%20정리_hwp_06.gif





레포트/의약보건

[의학,약학],동물,조직학,-,입에서,항문에,이르기까지의,소화기계통을,조직학적으로,정리,의약보건,레포트



[의학,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정리 , [의학,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정리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 동물 조직학 -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정리
순서
Report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의 소화기계통을 조직학적으로 정리(arrangement)해 보라.
1. 입술과 볼
그림. 입술의 시상단면. 피부부분, 중간부분, 점막부분으로 구분되는 입술과 표면은 각각 두께를 달리하는 중층 편평상피에 의해서 싸여져 있따 피부부분에서는 기름샘, 털주머니를 볼 수 있으며 점막부분에서는 점액샘을 볼 수 있따 입술의 중심부위에는 입둘레근이 있따

입술(lip)은 피부부분, 중간부분(붉은 부분), 적막부분 등 세부위로 구분되는데 중간 부분은 외측의 피부로 이행되며 내측으로는 점막부분으로 이행된다 입술의 피부부분과 볼의 외측은 다같이 각화된 중층편평상피, 털주머니, 기름샘, 땀샘, 들을 갖춘 피부로 덮여있따 입술의 중간부분은 각화되지 않은 비교적 투명한 중층편평상피에 의해서 덮여 있으며 긴 혈관성 결합조직 유두에 의해서 함입되어 있어 상피의 투명성과 긴 유두의 형관에 있는 혈액 때문에 늘 붉은 색조를 띄게 된다
이 부위에 가끔 기름샘이 있기는 하지만 분비샘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점막고유판은 비교적 치밀하며 감각신경 종말(3차 신경)이 많이 분포되어 있따 점막 밑층에는 탄력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탄력섬유들은 입술이나 볼에 있는 근육층, 즉 입 둘레근이나 볼근과 같은 골격근을 단단히 결합시켜서 점막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을 저작할 때 이 부위의 점막이 치아에 의해서 물리는 기회를 적게 한다. 표면상피에는 keratohyaline 과립을 함유하는 세포도 있지만, 핵의 위축, 변성될 뿐 각화현상을 일으키지 않은 채 항상 박리되어 침에 섞여서 나타난다. 입술과 볼이 잇몸적막에 연속되는 부위에서 점막밑층은 아주 느슨하기 때문에 이 부위의 점막은 쉽게 움직여진다. 따라서 입술의 중간부분은 침에 의해서 습하게 된다 입술과 볼의 내면은 그 구조가 비슷하다.
전체 12,62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onammaei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