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정구(1543~1620)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17:41본문
Download : 한강 정구(1543~1620).hwp
이러한 목적은 읍지를 편찬하여 위정자를 경계함은 물론 풍속을 순화하고 백성을 교화하려는 취지와도 상통한다.
이와 같이 한강은 몸소 체득한 ‘궁리거경’한 학문의 요체를 개인적인 차원에서 실천함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인 차원의 실현을 시도하여 일정한 결실을 가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응용구시’적인 정신이 제자인 미수에게 전수되어 근기실학파의 학문형성에 연원으…(생략(省略))
한강은 기본적으로 인물 중심의 역사관을 지니는데 이러한 역사 의식은 응용구시적인 학문 정신의 발현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의학을 실생활에 요긴한 것으로 간주하여 <의안집방>, <광사속집>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그 외에 지리와 천문 등에도 남다른 관심을 가지기도 했다. 지나간 역사 속에서 인물들의 사... , 한강 정구(1543~1620)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한강 정구(1543~1620).hwp( 94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한강 정구(1543~1620)
다. 지나간 歷史 속에서 인물들의 사...
한강은 기본적으로 인물 중심의 history관을 지니는데 이러한 history 의식은 응용구시적인 학문 정신의 발현으로 간주된다 지나간 history 속에서 인물들의 사정과 득실을 논함으로써, 당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건전한 생활 태도를 지니게 하고 위정자들에게는 경계의 지표를 삼게 하고자 한 것이다.
한강은 기본적으로 인물 중심의 歷史관을 지니는데 이러한 歷史 의식은 응용구시적인 학문 정신의 발현으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