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문학의 이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쓰기 요점 정리(整理)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8 22:15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문학의 이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 요점 정리.hwp
때로는 이것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고, 때로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차이는 화가나 무용, 피리의 취주나 키타라의 탄주에 있어서도 가능하며, 산문이나 음악의 반주가 없는 운문에 있어서도 이러한 차이는 가능하다. 모방의 수단이 그 종류에 있어 상이하든지, 그 대상이 상이하든지, 그 양식이 상이할 수도 있따 이렇게 모방의 수단은 동일하지 않다.
` 제2장 - (2)시는 그 대상에 의하여 구별된다 `
여러 가지 모방의 두 번째 차이는 그것이 “모방하는 대상”에 있따
모방자는 행동하는 인간을 모방하는데, 행동하는 인간은 필연적으로 선인이거나 악인이다.
하지만, 앞서 말한 여러 가지 예술들도 모두 율동과 언어와 화성을 사용하여 모방한다.
레포트/감상서평
문학의 이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나서 요점 요약
A. 모방의 주요 형식으로서 비극과 서사시와 희극에 관한 예비적 고찰
` 제1장 - (1)시는 사용하는 수단에 의하여 구별된다 `
서사시와 비극, 희극과 디튀람보스 그리고 대부분의 피리 취주와 키타라 탄주는 전체적으로 볼 때 모두 모방의 양식이다. 따라서 모방의 대상이 되는 행동하는 인간은 필연적으로 우리들 이상의 선인이거나, 또는 우리들 이하의 악인이거나, 또는 우리와 동등한 인간이다.
여러 가지 예술들의 이러한 차이점을 나는 “모방 수단에 있어서의 차이”라고 부른다.
비극과 희극의 차이도 바로 여기에 있따 희극은 실제 이하의 악인을 모방하려 하고, 비극은 실제 이상의 선인을 모방하려 하기 때문이다
` 제3장 - (3)시는 모방의 양식에 의하여 구별된다 `
여러 가지 모방의 세 번째 차이는 각종 대상을 “모방하는 양식”에 있따 동일한 수단으로 동일한 대상을 모방한다 하더라도, 시인은 1) 호메로스가 한 것처럼 때로는 서술체로, 때로는 작중 인물이 되어 말할 수도 있고 2) 그러한 change(변화)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서술체로만 말할 수도 있고 3) …(skip)
[사회과학] 문학의 이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 요점 정리 , [사회과학] 문학의 이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 요점 정리감상서평레포트 , [사회과학] 문학의 이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 요점 정리
Download : [사회과학] 문학의 이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 요점 정리.hwp( 95 )
[사회과학] 문학의 이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쓰기 요점 정리(整理)
순서
[사회과학],문학의,이해,-,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을,읽고,요점,정리,감상서평,레포트
[사회과학] 문학의 이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쓰기 요점 정리(整理)
설명
![[사회과학]%20문학의%20이해%20-%20아리스토텔레스의%20`시학`을%20읽고%20요점%20정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B8%ED%95%99%EC%9D%98%20%EC%9D%B4%ED%95%B4%20-%20%EC%95%84%EB%A6%AC%EC%8A%A4%ED%86%A0%ED%85%94%EB%A0%88%EC%8A%A4%EC%9D%98%20%60%EC%8B%9C%ED%95%99%60%EC%9D%84%20%EC%9D%BD%EA%B3%A0%20%EC%9A%94%EC%A0%90%20%EC%A0%95%EB%A6%AC_hwp_01.gif)
![[사회과학]%20문학의%20이해%20-%20아리스토텔레스의%20`시학`을%20읽고%20요점%20정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B8%ED%95%99%EC%9D%98%20%EC%9D%B4%ED%95%B4%20-%20%EC%95%84%EB%A6%AC%EC%8A%A4%ED%86%A0%ED%85%94%EB%A0%88%EC%8A%A4%EC%9D%98%20%60%EC%8B%9C%ED%95%99%60%EC%9D%84%20%EC%9D%BD%EA%B3%A0%20%EC%9A%94%EC%A0%90%20%EC%A0%95%EB%A6%AC_hwp_02.gif)
![[사회과학]%20문학의%20이해%20-%20아리스토텔레스의%20`시학`을%20읽고%20요점%20정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B8%ED%95%99%EC%9D%98%20%EC%9D%B4%ED%95%B4%20-%20%EC%95%84%EB%A6%AC%EC%8A%A4%ED%86%A0%ED%85%94%EB%A0%88%EC%8A%A4%EC%9D%98%20%60%EC%8B%9C%ED%95%99%60%EC%9D%84%20%EC%9D%BD%EA%B3%A0%20%EC%9A%94%EC%A0%90%20%EC%A0%95%EB%A6%AC_hwp_03.gif)
![[사회과학]%20문학의%20이해%20-%20아리스토텔레스의%20`시학`을%20읽고%20요점%20정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B8%ED%95%99%EC%9D%98%20%EC%9D%B4%ED%95%B4%20-%20%EC%95%84%EB%A6%AC%EC%8A%A4%ED%86%A0%ED%85%94%EB%A0%88%EC%8A%A4%EC%9D%98%20%60%EC%8B%9C%ED%95%99%60%EC%9D%84%20%EC%9D%BD%EA%B3%A0%20%EC%9A%94%EC%A0%90%20%EC%A0%95%EB%A6%AC_hwp_04.gif)
![[사회과학]%20문학의%20이해%20-%20아리스토텔레스의%20`시학`을%20읽고%20요점%20정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B8%ED%95%99%EC%9D%98%20%EC%9D%B4%ED%95%B4%20-%20%EC%95%84%EB%A6%AC%EC%8A%A4%ED%86%A0%ED%85%94%EB%A0%88%EC%8A%A4%EC%9D%98%20%60%EC%8B%9C%ED%95%99%60%EC%9D%84%20%EC%9D%BD%EA%B3%A0%20%EC%9A%94%EC%A0%90%20%EC%A0%95%EB%A6%AC_hwp_05.gif)
![[사회과학]%20문학의%20이해%20-%20아리스토텔레스의%20`시학`을%20읽고%20요점%20정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B8%ED%95%99%EC%9D%98%20%EC%9D%B4%ED%95%B4%20-%20%EC%95%84%EB%A6%AC%EC%8A%A4%ED%86%A0%ED%85%94%EB%A0%88%EC%8A%A4%EC%9D%98%20%60%EC%8B%9C%ED%95%99%60%EC%9D%84%20%EC%9D%BD%EA%B3%A0%20%EC%9A%94%EC%A0%90%20%EC%A0%95%EB%A6%AC_hwp_06.gif)
다. 그러나 그들은 세 가지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따 그것들이 사용하는 “모방의 수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