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루지야 (Gruziy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8:29본문
Download : Gr.hwp
흑해 연안에 비옥한 콜히다 저지가 있으며, 리오니 강과 잉구리 강이 그곳을 지난다. 6세기부터 여러 봉건국가들이 이 지역에 세워졌으나 13세기에 몽골을 비롯한 이민족들에게 침략당하면서 500만 명에 이르던 인구가 크게 줄어드는 대참사를 겪었다. 그루지야 서부에서는 습윤한 아열대성 해양기후가 나타나는 반면, 동부는 온대성 습윤기후에서부터 건조한 아열대성 기후까지 다양하다. 소수민족으로는 아르메니아인(약 8%), 러시아인, 아제르바이잔인 등이 있다아
다.
그루지야 (Gruziya).
6. 역사
1. 자연環境
Gruziya 그루지야 중앙아시아 / 소련 : 바딤 메디시 감수, 타임라이프북스 편집부 편, 한국일보타임라이프, 1987 Leadership in the Soviet National Republics : Grey Hodnett, 1978 The Peoples of the Hills : Charles A. Burney·David M. Lang, 1972 (국가)
Download : Gr.hwp( 42 )
4. 정치 사회
Gruziya 그루지야 중앙아시아
Leadership in the Soviet National Republics : Grey Hodnett, 1978
5. 문화
The Peoples of the Hills : Charles A. Burney·David M. Lang, 1972 (국가)
2. 국민
3. 경제
Gruziya 그루지야 중앙아시아 / 소련 : 바딤 메디시 감수, 타임라이프북스 편집부 편, 한국일보타임라이프, 1987
국민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그루지야인들은 처음부터 카프카스 산맥 주변에 정착한 민족으로 추측되며, 4세기에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였다. 카프카스 산맥이 차가운 북풍을 막아주고 흑해의 effect(영향) 을 받아 기후는 온난하다. 19세기초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며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인구가 13세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인구의 2/3를 차지하는 그루지야인(그들 자신은 카르트벨레비라고 함)들은 카르트벨리야어족(남카프카스어군)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며, 대부분이 그루지야 정교회의 신자이다.





7. 한국과의 관계 자연環境
그루지야 대부분의 지역은 산악지대로, 카프카스 산맥에 속하는 봉우리들의 평균(average) 높이가 4,600m 이상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