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ammaeil.co.kr 한국어 음성음운론 > honammaeil8 | honammaeil.co.kr report

한국어 음성음운론 > honammaeil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onammaeil8

한국어 음성음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16:18

본문




Download : 한국어_음성음운론.hwp






* 엄격히 말하면, 한국어의 경구개음은 /j/뿐이다. 다만, /ㅣ/ 모음이나 반모음…(skip)







한국어,음성음운론,인문사회,레포트
다.

Download : 한국어_음성음운론.hwp( 92 )



한국어 음성음운론

한국어 음성·음운론

제4강: 한국어의 분절음 2: 한국어의 자음
--------------------------------------------------------------------
1. 개수: ( )개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2. 분류 기준
1) 조음위치(place of articulation): 공기 흐름의 장애가 어느 위치에서 일어나는가


① 양순음(bilabial): 두 입술에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ㅁ, ㅂ, ㅍ, ㅃ

② 치경음(=치조음; alveolar): 혀끝이나 설단이 윗잇몸보다 조금 안쪽(이 부분을 ‘치조’라 한다.)을 막거나 가까이 근접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ㄴ, ㄷ, ㅌ, ㄸ, ㅅ, ㅆ, ㄹ

* 순치음(labio-dental): 윗니와 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영어 f, v

* 치간음(inter-dental)/치음(dental): 혀가 윗니와 아랫니에 붙거나,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들어가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영어 ?, ?

③ 경구개음(palatal): 전설과 경구개를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ㅈ, ㅊ, ㅉ

* 경구개치경음(palato-alveolar)/후치경음(post-alveolar): 혀끝이나 설단이 치조의 뒷부분에서 공기 흐름의 장애를 만들면서 내는 소리
예: 영어 ?, ?, ?, ?

* 한국어의 ㅈ, ㅊ, ㅉ은 엄격한 의미에서 경구개음이라기보다는 경구개치경음과 경구개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치경경구개음(alveolo-palatal) 또는 전경구개음(pre-palatal)이다.설명


한국어_음성음운론_hwp_01.gif 한국어_음성음운론_hwp_02.gif 한국어_음성음운론_hwp_03.gif 한국어_음성음운론_hwp_04.gif 한국어_음성음운론_hwp_05.gif 한국어_음성음운론_hwp_06.gif
한국어_음성음운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한국어 음성음운론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어 음성음운론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_음성음운론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따라서 IPA로 정확히 쓰면 각각 [?, ?h, ?`]이다.
전체 12,70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onammaei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